
SK텔레콤이 해킹 사태 여파로 29일에 3만명 넘는 가입자가 KT와 LG유플러스 등 다른 통신사로 번호 이동했다. 유심 무상교체가 시작된 이후 이틀간 7만명 넘게 이탈했다.
3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전날 SK텔레콤 가입자 3만5902명이 다른 통신사로 번호이동했다. SK텔레콤으로 이동한 가입자는 3262명으로 29일 SK텔레콤의 가입자 순감 규모는 3만2640명이다.
유심 무상 교체를 시행한 첫날 28일에는 SK텔레콤 가입자 3만4132명이 다른 통신사로 이탈했다. 8729명이 새로 가입하면서 2만5403명이 순감했다.
통합 이탈 인원은 7만32명, 새로운 가입자를 포함한 순감 인원은 5만8043명이다.
이날 SK텔레콤에서 2만294명이 KT로 이동했으며, 1만5608명이 LG유플러스로 이동했다.
해킹 사고 전 최고 200명 수준에서 사고 공개 직후 첫 주말 하루 1000명대 순감 규모로 늘었다. 이후 유심 교체를 시작한 이번 주 초반 2만∼3만명대 가입자 순감이 이어지며 이탈이 점점 늘고 있다. 알뜰폰으로 이동한 이용자까지 합하면 이탈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SK텔레콤의 유심 재고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으로 가입자들의 이탈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현재 확보한 유심은 100만개로 5월 말까지 약 500만개를 추가수급할 계획이다. 다만 그럼에도 알뜰폰 사용자를 포함한 SK텔레콤 이용자수 2500만명의 유심을 교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유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K텔레콤은 유심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방식인 가칭 ‘유심포맷’을 개발 중이다. 다만 해당 기술은 5월 중순에 적용될 예정이라 그 전까지 유심 부족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 로피드, SK텔레콤 해킹에 50만원 위자료 청구···집단소송도 추진
- 개인정보위 부위원장 "SK텔레콤 과징금 역대 규모 예상"
- SK텔레콤, "유심 부족 문제 해결 위해 기존 유심 포맷하는 방법 개발 중"
- [종합]SK텔레콤 '해킹 사태', 현재 상황과 대응책은?
- '해킹' SK텔레콤서 KT·LG유플러스로 가입자 일부 이탈
- 유영상 대표 "SK텔레콤 모든 가입자 정보유출 가능성도 대비"
- [기자수첩] '해킹' 공포보다는 냉정하게 손실을 확인해야 할 때
- [현장] 유영상 대표 "T월드 매장서 SK텔레콤 신규 가입자 모집 중단”
- '해킹' SK텔레콤 직원들, 황금연휴에 공항·대리점 '유심 교체' 현장 지원
- KT, 1분기 영업익 6888억원··· 36%↑ "부동산 분양 수익 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