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1위 통시사인 SK텔레콤이 해킹 사고 이후 가입자가 빠르게 빠져나가고 있다.
28일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26일 SK텔레콤 가입자 1665명이 KT와 LG유플러스로 이동했다. KT로 1280명, LG유플러스로 385명 각각 이동했다. 알뜰폰으로 이동한 이용자까지 더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SK텔레콤에서 빠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의 가입자는 2300만명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평소에도 가입자가 일부 감소하고 있다.
이달 들어 가입자 이탈이 많은 날도 그 수가 200명을 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가입자가 1600여명이 이탈한 것은 해킹 사고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타사로 번호이동을 요구하는 고객과 함께 이날 시행되는 유심 무료 교체 문의 고객이 몰리면서 SK텔레콤 고객센터 연결에 난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 대리점과 판매점들은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다른 통신사에서 자사로 이동하는 고객에게 큰 규모의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최신 플래그십 제품 갤럭시 S25 기본 모델은 다른 통신사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 시 현금 완납 기준 5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 일부 판매점에서는 갤럭시 S25가 '공짜폰'으로 풀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영업 실적을 우려한 일부 대리점, 판매점들이 기존 유심을 무상 교체 서비스가 아닌 판매 건 위주로 최대한 사용하라고 지시한 사실도 알려졌다. 이에 유심 교체를 못한 이용자들이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이 같은 판매 정책에 대해 "단통법은 7월 말 폐지 예정으로 아직 살아있기 때문에 관련 규정 위반 여부가 있을 경우 휴대전화 유통점에 대해 조사 점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최민희 위원장 "해킹 SK텔레콤 서버, 정보통신기반보호법 보호 못받아"
- [현장] '유심 무료 교체' 첫날···T월드에 줄 선 SK텔레콤 고객들
- SK텔레콤, 유심교체 온라인 예약시스템 '접속장애'
- SK텔레콤 "해킹 피해 100% 책임질 것"···유심 교체 온라인 예약 도입
- [현장] 유영상 CEO "SK텔레콤 유심카드 무료 교체 시행"
- [종합]SK텔레콤 '해킹 사태', 현재 상황과 대응책은?
- 유심 교체 첫날 SK텔레콤 가입자 3만4천명 이탈
- SK텔레콤, 유심 교체 28만명···432만명 교체 예약
- 유심 변경 이틀째 SK텔레콤 가입자 7만명 이탈
- LG유플러스, 1분기 매출 3조7481억원···영업익 15.6%↑
- KT커머스, AI로 구매가격 협상 자동화한다
- 11년 만에 폐지된 단통법, 스마트폰 구매 ‘눈치 싸움’ 시작?
- 단통법 폐지 후 5일, 9만5천명 통신사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