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싱 방지 솔루션 페이크파인더를 운영하는 에버스핀은 8일 SK텔레콤 해킹 사건 이후 불안한 사용자 심리를 이용해 휴대전화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피싱범은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 등으로 "SKT 유심 해킹 피해 여부를 점검해준다", "기기가 해킹된 것 같다"고 속여 원격 제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수법을 썼다.
'피해구제국' 등의 이름을 쓴 악성 앱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금융기관이나 경찰청 등에 전화를 시도할 때 통화를 가로채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 에버스핀의 설명이다.
피싱범들은 'SK쉴더스', '애니데스크'(AnyDesk) 등 실제로 존재하는 보안 회사의 이름을 악성 앱 명칭으로 도용해 피해자들을 속이려 했다.
에버스핀은 "악성 앱들에 대한 정보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속히 전달하고 있지만, 유사 사례가 향후 지속해 발생할 것"이라며 보이스 피싱 및 스미싱 범죄 피해 예방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 SK텔레콤, 해킹 사태 이후 고객 24만8천명 이탈
- [전문] 최태원 회장 "SK텔레콤 해킹, 그룹 대표해 진심으로 사과"
- [현장] 최태원 회장 "해지 위약금, SK텔레콤 이사회 논의 중"
- 최태원 회장, 오늘 SK텔레콤 해킹 사태 대국민 사과
- SKT "유심보호 2411만명 가입···유심교체 104만명"
- SK텔레콤 "결합 상품 일부 가입자 이탈시 잔여 할인 유지 여부 미정"
- '잔인한 4월' 삼성·SK·CJ 등 대기업 왜 해킹당했나?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위약금 규모 2500억원···250만명 이탈할 것"
- SK쉴더스, 클라우드 환경 보안 능력 입증···AWS 레벨 1 MSSP 컴피턴시 획득
- 안랩 "대선 설문조사 위장 피싱 문자 주의"
- SK쉴더스, “제로트러스트 보안으로 내부 침투형 위협 차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