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지난 주말 갤럭시 S25와 아이폰 16 모델 공시지원금을 상향한 데 대해 "경쟁사도 지원금과 장려금을 높이고 있어 판매점에서 영업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 수준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이날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연 해킹 사건 브리핑에서 통신사 이동이 없는 기기 변경뿐 아니라 다른 통신사를 해지하고 옮겨오는 번호 이동 가입자에 대한 지원금도 늘렸다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SK텔레콤은 해킹 사태 이후 원활한 유심 교체에 집중하라는 이유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신규 가입자와 번호 이동 수요를 받지 말라는 행정지도를 받았다. 이는 대리점과 직영점으로 이뤄진 전국 2천600개 T월드 매장에 해당하는 것이다. 통신 3사 영업을 함께 하는 형태의 판매점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SK텔레콤이 주말 공시지원금 상향 정책을 펴면서 가입자 수가 증가했다. 지난 주말 공시지원금 상향이 반영된 26일 통계에서 KT와 LG유플러스에서 SK텔레콤으로 이동한 가입자 수가 3033명으로 집계됐다.
임봉호 MNO(이동통신) 사업부장은 "기존 고객의 이탈을 최대한 방어할 목적으로 판매점 신규 유치 장려금을 상향했고 이심 사용자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킹 사고 조사 결과가 나오는 다음 달 말 이후 가입자 이탈을 회복하기 위한 지원금 정책 변화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새로 수급되는 유심 물량은 판매점이 아닌 직영·대리점에 보내고 있고 일부 기기 변경에 사용되는 분량을 제외하고 전부 교체 작업에 투입한다고 설명했다.
김희섭 PR센터장은 "유심 교체가 원활히 이뤄지는 여건이 갖춰지고 믿고 쓸 수 있는 서비스를 통해 고객 신뢰를 회복하는 방안을 만들어 제시하면 이탈 가입자도 다시 돌아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SK텔레콤은 22일 고객신뢰위원회 회의를 열어 통신사 해킹뿐 아니라 각종 사건·사고에 당면했던 국내외 기업의 신뢰 회복 성공 또는 실패 사례를 검토했다. 위원회에서는 SK텔레콤이 정보보호에 대한 장단기 투자계획을 구체화할 것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다.
SK텔레콤 유심 누적 교체 수량은 459만개, 잔여 예약은 444만개로 집계됐다. 유심 재설정은 지금까지 22만9000명이 참여했다.
- 오픈AI, 한국법인 공식 설립···"대한민국 챗GPT 이용률 매우 높아"
- 민관 합동 해킹조사단, SK텔레콤 이어 KT·LG유플러스도 조사
- 개인정보위원장 "SK텔레콤, 역대급 해킹 사건···경각심 가져야"
- 점점 밝혀지는 'SK텔레콤 해킹 사태'···강화된 FDS 적용으로 피해 無
- SK텔레콤, 가입자 이탈 하루 1만명 아래로
- 김영섭 KT 대표, 베트남 AX 전환 지원"혁신 파트너로 글로벌 AX 성장 가속"
- 'SK텔레콤 해킹' 후 5월 번호이동 93만명···3월 대비 77%↑
- LG유플러스, 비즈니스캔버스에 양자암호 보안 솔루션 ‘알파키’ 공급
- 생성형 AI 편집한다···삼성 갤럭시 AI '포토 어시스트' 사용률 2배 증가
- SK텔레콤 해킹으로 이통 3사 보안 무엇이 바뀌었나?
- SK텔레콤 "20일까지 유심 교체 마무리할 것"
- 예스24 '랜섬웨어 해킹' 나흘째 먹통···"일요일 복구 완료 예상"
- SK텔레콤, 이심 신규영업 재개···"유심 교체에 총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