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SK텔레콤에서 발생한 해킹 사고로 인해 5월 한 달간 통신 시장에서 약 94만명의 이용자가 번호이동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달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알뜰폰(MVNO) 간 총 번호이동 가입자 수는 93만3509명으로 집계됐다. 해킹 사고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 3월 52만5937명에 비해 약 77% 증가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평소 이 숫자는 50만명 내외에 그친다. 최근 5년간 단 한 번도 60만명을 넘긴 적 없다.
올해 1월 해도 49만4530명 수준이었던 번호이동 가입자는 2월과 3월에는 50만명대에 머물렀다. SK텔레콤에서 해킹 사고가 발생한 지난 4월 70만명에 가까이 늘었다. 5월에는 100만명에 가까운 숫자를 기록했다.
KT가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인해 가장 이득을 많이 본 통신사로 나타났다. SK텔레콤에서 KT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는 지난달 19만6685명이다. 평소 3만~4만명대 수준에서 해킹 사고가 발생한 지난 4월부터 9만5953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 SK텔레콤 고객 15만8625명이 넘어왔다. LG유플러스에서도 지난 4월 평소의 약 2배인 8만6005명의 가입자가 SK텔레콤에서 번호이동해 왔다.
SK텔레콤에서 알뜰폰으로 번호이동한 이용자 수는 8만5180명으로 집계됐다. 평소에는 최대 5만명대 수준이었다.
KT나 LG유플러스, 알뜰폰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한 건수는 각각 1만명대로 나타났다.
해킹 사고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 2월과 3월만 해도 KT와 LG유플러스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하는 가입자는 4만명대, 알뜰폰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하는 가입자는 2만명대였다.
- SK텔레콤, "기존 고객 이탈 방지 위해 공시지원금↑"···가입자수도 증가
- 민관 합동 해킹조사단, SK텔레콤 이어 KT·LG유플러스도 조사
- SK텔레콤망 알뜰폰 가입자↓···SK텔링크 4만명 이탈
- 개인정보위원장 "SK텔레콤, 역대급 해킹 사건···경각심 가져야"
- 점점 밝혀지는 'SK텔레콤 해킹 사태'···강화된 FDS 적용으로 피해 無
- 인천 서구 공장 화재 ···5시간 40분 만 완전 진화
- LG유플러스, 비즈니스캔버스에 양자암호 보안 솔루션 ‘알파키’ 공급
- 美서 기소된 중국 해커 대화 보니···"中 공안이 韓 통신사 자료 요청"
- SK텔레콤 해킹으로 이통 3사 보안 무엇이 바뀌었나?
- SK텔레콤 "20일까지 유심 교체 마무리할 것"
- 예스24, '접속 장애' 원인은 랜섬웨어 공격···해커들 금전 요구도
- 예스24 '랜섬웨어 해킹' 나흘째 먹통···"일요일 복구 완료 예상"
- KT, 팔란티어와 국내 산업계 AI 전환 촉진 위한 구체적 전략 논의
- SK텔레콤, 이심 신규영업 재개···"유심 교체에 총력"
-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 "경쟁사보다 앞서 나가기 위해 '위닝 R&D' 필요"
- SK텔레콤, '공시지원금 ’ 인상으로 해킹 이탈 고객 붙잡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