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사고) 건은 저희가 보는 정황으로는 역대급 사건"이라며 "경각심을 갖고 심각하게 사안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는 고학수 위원장이 2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인정보위와 한국CPO(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가 공동 주관한 개인정보 정책포럼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고 위원장은 "기본적으로 국민적인 피해가 발생한 것이고, 일부는 피해 발생을 증명할 단서를 말씀하시는 데, 이미 피해는 어마어마하게 발생한 것이고 회사가 그 피해를 막지 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SK텔레콤의) HSS에 있는 2500만명 고객 전체 데이터가 해킹된 것"이라며 "4월 22일 (개인정보위에) 신고가 들어왔고 그날부터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보고 일 처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크웹 상에 SKT에서 해킹된 개인정보가 유출됐는지를 묻는 말에 "아직 발견된 것은 없다"고 답했다.
해킹 배후에 대한 질문에 "많은 해킹 사건은 정확한 원인 규명, 범인 배후를 확인하는 데 어려운 게 훨씬 더 많다"며 "(데이터가) HSS에 있다가 싱가포르를 거쳐서 넘어간 흔적이 있었고, 싱가포르 IP주소가 누구 통제로 있었던 것인지 파악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고 위원장은 SK텔레콤의 정보 유출 통지 과정에 유감을 표명했다. 그는 "(SK텔레콤의) 통지는 저희가 5월 2일 의결하고, 9일 (SKT의) 통지가 되긴 했으나 굉장히 유감이 많다"며 "그때까지 통지 안 한 것도 문제이고 통지내역에 '유출 가능성을 추후 알리겠다'고 표현한 것, 법에서 요구한 부분에 부합 안 된 내용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제대로 된 통지가 아니라고 판단했고, 뒤늦게 부실하게 했다. 그 자체가 문제"라며 "SK텔레콤 측에 통지가 미흡했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고 했다.
앞서 그는 이날 포럼 개회사에서 "SKT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심화 시대에 국민 신뢰를 위협하는 매우 중대한 사건"이라며 "법 위반사항에 대해 강력하게 제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개인정보위는 SK텔레콤으로부터 유출이 신고된 지난달 22일부터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TF를 구성해 조사에 착수했다. 이달 2일에는 긴급 전체회의를 열어 SK텔레콤이 개별 이용자에게 유출 사실을 통지할 것을 의결하기도 했다.
- SK텔레콤 "해킹 피해사례 0건···'고객안심패키지'로 유심 안전망 확보"
- 점점 밝혀지는 'SK텔레콤 해킹 사태'···강화된 FDS 적용으로 피해 無
- SK텔레콤 ,"IMEI 도용 '불법복제폰' 피해 완전 차단"
- SK텔레콤, '2차 조사 결과' 감염서버 23대···현재 피해 신고 없어
- SK텔레콤, 가입자 이탈 하루 1만명 아래로
- SK그룹,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 신설···위원장은 '최창원 의장'
- "SK텔레콤 이용자 1천명 대리 손해배상 소송"
- SK텔레콤망 알뜰폰 가입자↓···SK텔링크 4만명 이탈
- 안랩, "中 의심 해킹 그룹, 전세계 2000개 서버 통제"
- 민관 합동 해킹조사단, SK텔레콤 이어 KT·LG유플러스도 조사
- SK텔레콤, "기존 고객 이탈 방지 위해 공시지원금↑"···가입자수도 증가
- 'SK텔레콤 해킹' 후 5월 번호이동 93만명···3월 대비 77%↑
- SK텔레콤, 이심 신규영업 재개···"유심 교체에 총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