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말 기준 39.29%···'해킹 사태' 직격탄
KT 20만명↑···LG유플러스알뜰폰 10만명대↑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해킹 사태 여파로 가입자 이탈이 급증한 SK텔레콤의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이 올해 5월말 기준 39.29%를 기록했다. 창사이래 처음 40% 아래로 떨어졌다.
SK텔레콤을 이탈한 고객들은 KT로 가장 많이 옮겼으며 LG유플러스와 알뜰폰에도 고루 이동했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5월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및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의 가입자 수는 2249만9042명으로 집계됐다. 4월 가입자 수 2292만4260명에서 42만5218명 줄어든 수치다. 점유율은 40.08%에서 39.29%로 0.79%p 감소했다.
KT, LG유플러스, 알뜰폰(MVNO)의 가입자 수는 모두 늘었다.
KT는 1361만780명으로 4월 1341만3968명에서 19만6812명 늘었다. 점유율은 23.45%에서 23.77%로 0.32%p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1113만1466명으로 4월 1099만2877명보다 13만8589명 늘었다. 점유율은 19.22%에서 0.23%p 증가한 19.45%를 기록했다.
알뜰폰 가입자수는 999만7971명으로 4월 986만1974명보다 13만5997명 늘며 17.4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1361만780명(23.77%), 1113만1466명(19.45%)으로 1341만3968명(23.45%)과 1099만2877명이던(19.22%) 4월 대비 각각 0.32%p, 0.23%p 증가했다. 알뜰폰 가입자 수는 999만7971명으로 4월보다 13만5997명 늘어 전체의 17.47%를 차지했다.
7월 기준 공식 가입자 통계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지난 5일부터 14일까지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를 실시한 SK텔레콤의 시장 점유율은 더욱 하락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4월 해킹 사태 이후 SK텔레콤이 가입자 번호이동 위약금을 면제한 지난 14일까지 SK텔레콤을 이탈한 고객은 모두 83만5214명이다. 새로 가입한 인원을 제하면 60만1376명의 가입자가 순수하게 줄어들었다.
- [기자수첩] 디지털 서비스 '연쇄 마비'···기초 보안 점검이 먼저
- 고객 유치에 총력 ‘통신 3사’, 점유율 어떻게 바뀔까?
- 갤럭시 폴드·플립 Z 7 사전판매, '단통법 폐지' 직전까지 이통사 보조금 전쟁 '점화'
- 공짜폰 등장, 통신 3사 경쟁 '점입가경'··· SKT 위약금 면제·단통법 폐지 맞물려
-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후 7만5000여명 이탈···순감은 2만9000명 수준
- SKT, 2분기 영업익 37%↓··· "유심교체 등 일회성 비용 영향"
- 방통위, SKT 해킹 위약금·KT 사전예약 취소 분쟁 “통신사 책임 일부 인정”
-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확대···점유율 감소세 어쩌나
- 반복된 해킹 사태, 드러난 이동통신 3사의 '구조적 보안' 실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