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2년 넘게 이어지던 K푸드의 대미 수출 성장세가 2년여 만에 꺾였다.
20일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 과자 등 가공식품을 포함한 농식품 대미 수출액은 1억3900만달러(약 19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00만달러(6.7%) 감소했다. 대미 농식품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줄어든 것은 2023년 5월 이후 2년 2개월 만이다.
핵심 품목인 라면의 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400만달러로 17.8% 줄었다. 올해 상반기 라면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0.8% 증가했다.
과자류도 2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5.9% 감소했다. 소스류는 7.2%, 인삼류는 13.4% 일제히 줄었다.
다만 올해 7월 누계 기준 대미 농식품 수출은 10억73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3% 증가했다. 하지만 7월 한 달간 수출이 줄면서 누계 기준 증가율은 지난 6월까지의 27%에서 낮아졌다.
고율 상호관세가 예고된 상황에서 수입업체들이 발주를 앞당긴 영향이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불닭볶음면으로 대미 라면 수출을 주도하는 삼양식품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관세 때문에 6월까지 수출을 많이 해 판매 물량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농심은 미국 현지에서 라면을 생산하고 있지만, 삼양식품과 오뚜기는 상황이 비슷하다.
대미 라면 수출액은 2월부터 6월까지 매달 2000만달러를 넘겼고, 6월에는 2900만달러로 전년 대비 58.7% 급증했다.
강은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미국에서 사업을 영위 중인 국내 업체들도 소비심리 둔화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며 “CJ제일제당의 2분기 미국 매출은 달러 기준 2.6% 감소했고, 농심 역시 환율 효과를 제외하면 성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농기자재까지 포함한 ‘K푸드 플러스’ 수출액 14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전체 농식품 수출액은 8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했다.
- 폭염·폭우 탓, 배추 한포기 7000원 '훌쩍'···한달새 1.5배↑
- ‘유류세 인하’ 10월 말까지 연장···휘발유 82원·경유 87원 인하 효과
- 7월 먹거리 물가 3.5% 상승···1년 만에 최고치
- 이재명·트럼프 첫 정상회담···한미 대화·조선업 협력 논의
- 미국, 소액 소포에도 관세···K뷰티·패션 대응책 마련 나서
- 소비자심리, 5개월 연속 개선···향후 경기 전망은 ‘먹구름’
- 농심, ‘태양의서커스’와 협업 마케팅 전개
- ‘불닭’, 누적 판매량 80억개 돌파
- 삼양식품, ‘맹구짱구’로 캐릭터 팬덤 공략
- 삼양식품 ‘탱글’, 자라섬 재즈페스티벌 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