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프로그램 업무협약

자동차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민관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왼쪽부터)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안정구 이사장, 산업통상부 박동일 실장, 중소벤처기업부 노용석 차관, 현대차 기아 정준철 부사장, 현대차 기아 협력회 문성준 회장. /사진=현대자동차·기아
자동차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민관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왼쪽부터)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안정구 이사장, 산업통상부 박동일 실장, 중소벤처기업부 노용석 차관, 현대자동차·기아 정준철 부사장, 현대자동차·기아 협력회 문성준 회장. /사진=현대자동차·기아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 현대자동차·기아는 산업통상부, 중소벤처기업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및 부품 협력사들과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프로그램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완성차와 부품 협력사가 공급망 전반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대차·기아는 협력사의 중장기 탄소감축 계획 수립을 돕고, 설비 도입과 역량 강화를 위한 ‘탄소저감 상생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민관 공동 지원 구조로 설계됐다. 산업통상부와 현대차·기아가 1차 부품 협력사의 탄소감축 설비 교체 비용을 지원하면, 1차 협력사는 이 가운데 일부를 2차 협력사에 환원한다.

2차 협력사는 중소벤처기업부와 1차 협력사의 지원을 바탕으로 설비 구매와 탄소중립 교육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하위 공급망까지 탄소 저감 투자가 이어지도록 연계형·상생형 구조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2045년까지 차량 생산·운행·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탄소 순배출 '제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공급망 저탄소 전환을 핵심 과제로 두고 있다. 2025년 4월에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를 열어 관련 기술과 설비를 소개하고 협력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 바 있다.

현대자동차·기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기업, 정부, 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공급망 저탄소 전환 협력 모델"이라며 "지속가능경영과 산업 생태계 전환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