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WO 광저우는 올해 말까지 차량 1000대 이상에 적용 가능한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중국 시장에 누적 공급할 계획

HTWO 광저우와 카이워그룹이 공동 개발한 8.5m 수소연료전지버스. /사진=현대자동차그룹
HTWO 광저우와 카이워그룹이 공동 개발한 8.5m 수소연료전지버스. /사진=현대자동차그룹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이 중국 상용차업체 카이워그룹과 함께 광둥성 광저우시에 수소연료전지버스를 공급하며 현지 수소 모빌리티 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중국 수소연료전지시스템 법인 'HTWO(에이치투) 광저우'가 카이워그룹과 공동 개발한 8.5m 수소연료전지버스가 광저우국영버스그룹의 ‘수소연료전지 도시버스 구매 프로젝트’ 입찰에서 종합평가 1위를 기록해 최종 낙찰됐다고 18일 밝혔다.

광저우국영버스그룹은 이번 사업을 통해 수소버스 50대를 도입하며, 이 가운데 25대를 HTWO 광저우-카이워그룹 컨소시엄이 연내 공급할 예정이다. 기존 전기버스 중심이던 광저우 시내 대중교통에 수소버스가 본격 투입되면서 도심 친환경 교통 인프라 전환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업은 HTWO 광저우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이 현지에서 품질과 내구성을 인정받은 결과다. 현대차그룹은 약 30년간 축적한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양산 체계를 구축해왔다. HTWO 광저우는 올해 말까지 차량 1000대 이상에 적용 가능한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중국 시장에 누적 공급할 계획이다.

8.5m 수소버스에는 HTWO 광저우의 90kW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이 탑재됐다. 이 시스템은 4.5t 물류 트럭, 냉장차, 청소차 등에 적용돼 운행 성능이 검증됐으며, 발전 효율은 64% 수준이다. 수소 충전 시간은 약 5분, 복합 주행거리는 현지 기준 최대 576km로 제시됐다. 저상 구조와 맞춤형 루프 설계를 적용해 승하차 편의성과 실내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는 게 현대자동차그룹 설명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공급을 맡고, 카이워그룹은 신에너지 상용차 분야의 개발·생산 및 현지 운영 경험을 더해 제품 경쟁력을 확보했다. 양사는 향후 광저우를 넘어 중국 내 다른 도시와 물류·공공부문으로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HTWO 광저우 관계자는 "광저우 수소버스 프로젝트 1위 낙찰은 HTWO 광저우의 기술 경쟁력을 중국 시장에서 다시 한 번 확인한 사례"라며 "현지 파트너들과 협력을 넓혀 수소 모빌리티와 인프라 사업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HTWO 광저우는 현대자동차그룹이 해외에 건설한 첫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공장이자 중국 수소사업의 핵심 거점이다. 2023년 준공 이후 현지 기업들과의 프로젝트를 통해 수소 버스·트럭 등 상용차 중심의 수소 모빌리티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