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그룹, 정부 대미 관세 인하 노력 등에 화답
삼성, 사상 최대 450조 국내 투자

 

삼성그룹이 향후 5년간 국내 연구개발(R&D)을 포함해 총 45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삼성그룹이 향후 5년간 국내 연구개발(R&D)을 포함해 총 45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전근홍 기자 | 삼성·SK·LG 등 7개 주요 그룹들이 국내 투자를 대대적으로 확대한다. 정부의 대미 관세 인하 노력, 이재명 대통령의 국내 고용·투자 확대 요청에 부응하려는 움직임이다.

삼성그룹은 지난 16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 국내 주요그룹 총수 초청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직후 향후 5년간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에 사상 최대인 총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 2022년 내놨던 5개년 국내 투자액(360조원)보다 25%(90조원) 확대됐다.

구체적으로 삼성전자의 첨단 반도체 생산기지인 평택캠퍼스의 2단지 5라인(5공장, P5)의 골조 공사가 본격화된다.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2028년부터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한다. 비수도권 지역 투자도 확대한다. 삼성SDS는 전남에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삼성SDS는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건립할 SPC(특수목적회사) 컨소시엄의 주사업자다.

SK그룹 역시 오는 2028년까지 128조원 상당의 국내 투자를 차질 없이 이행해 정부의 ‘AI 3대 강국’ 비전 등 국내 산업발전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의 용인반도체 클러스터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 급증과 공정의 첨단화로, 당초 계획대비 투자비를 대폭 늘려 잡은 상태다. 현재 SK그룹 추산으로는 최종 계획(팹 4기)이 마무리되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대한 총 투자 규모만 60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내년부터 5년 동안 국내에 총 125조2000억원의 사상 최대 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직전 5년(2021~2025년) 동안 이뤄진 89조1000억원 대비 36조1000억원 많은 수준이다. 이번 투자는 ▲AI·SDV(소프트웨어중심차량)·전동화·로보틱스·수소 등 미래 신사업 분야 50조5000억원 ▲기존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및 경상투자 각각 38조5000억원, 36조2000억원으로 구성됐다.

LG그룹은 향후 5년간 100조원을 국내에 투자한다. 이 가운데 60%를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과 확장에 투입한다. HD현대는 향후 5년간 약 15조원의 국내 투자를 진행한다. 에너지 분야와 AI 시대 로봇 사업에 8조원, 조선해양 분야에 7조원을 투입한다. 한화그룹은 국내 조선과 방산 분야에서만 향후 5년간 약 1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3년간 인천 송도, 충청북도 오창, 충청남도 예산에 총 4조원의 시설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