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AI 관련주 고평가 논란에 일제 하락 지속
연준 12월 금리 동결 전망에 기술주 약세 심화
엔비디아 실적 대기 속 투자심리 불안 지속
| 스마트에프엔 = 김효정 기자 | 뉴욕증시는 18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이 고평가됐다는 논란이 지속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돼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498.50포인트(1.07%) 하락한 46,091.74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55.09포인트(0.83%) 내린 6,617.3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75.23포인트(1.21%) 떨어진 22,432.85로 각각 마감했다. 이로써 뉴욕증시는 S&P 500 지수 기준 4거래일 연속 약세를 이어갔다.

AI 관련주의 고평가 논란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2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며 기술주 중심의 약세 기조가 계속됐다. 개장 전 비트코인이 9만 달러선 아래로 내려가면서 투자심리가 더욱 냉각됐다.
AI 대장주 엔비디아는 2.81% 하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2.70%), 아마존(-4.43%) 등 주요 대형 기술주도 큰 폭으로 내렸다. 엔비디아는 19일 장 마감 후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반독점 소송에서 승소했으나 상승 전환에는 실패하며 0.72% 하락했다.
또한 AMD(-4.25%), 마이크론(-5.56%) 등 주요 반도체 주식도 크게 떨어졌다. 오픈AI 경쟁사인 엔트로픽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300억 달러 상당의 MS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매한다고 밝혔으나 AI 관련 투자심리 회복에 미치지 못했다.
유통업체 홈디포는 연간 실적 전망을 낮추면서 6.02% 급락했고, 이번 주 실적 발표를 앞둔 월마트도 1.52% 하락하는 등 대형 유통사 주가가 약세를 나타냈다. 또 챗GPT와 엑스(X, 구 트위터) 등 다수 사이트 접속 장애 원인으로 지목된 웹 인프라 기업 클라우드 플레어는 2.83% 떨어졌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일가가 소유한 트루스소셜 모기업 트럼프 미디어 주가는 6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10.73달러로 최저치를 갱신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엔비디아 19일 실적 발표와 20일로 예정된 9월 고용 보고서를 앞두고 향후 투자 심리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임파워 자산관리 서비스의 마타 노턴 투자전략가는 "실적발표 기간을 맞아 기업들이 대체로 호실적을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상당한 투자심리 재조정을 맞이하고 있다"며 "여전히 시장에 공포 심리가 감도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 비트코인 9만 달러 붕괴 후 반등세···저가 매수세 유입에 시장 ‘꿈틀’
- 코스피 3.32% 급락, 4000선 붕괴···'AI 버블 우려·美 금리 변수' 영향
- 버핏이 선택한 알파벳···43억달러 매수에 주가 ‘사상 최고’
- 코스피 ‘불장’에 시총 ‘10조’ 61개···코스닥 상장사 3곳 포함
- 트럼프 "조지아 한국인 단속, 실수였다"···美 제조업 재건에 외국 기술자 필수
- 엔비디아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에…삼전·SK하이닉스 '훈풍'
- 대학 시험 부정행위 5년 224건···'챗GPT' 4건 적발 'F' 처리
- 오픈AI, 챗GPT에 쇼핑 리서치 기능 도입
- AMD, 자이프라의 프런티어급 AI 모델 학습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