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I 3.29% 오른 배럴당 72.70달러…브렌트유 3.11% 상승한 78.25달러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2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3.29% 상승한 배럴당 72.70달러, 3월 인도 브렌트유는 3.11% 오른 78.25달러로 각각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는 5거래일 만에 상승세로 마감했으며, WTI 하루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나타났다.
이날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리비아에서 시위로 인해 하루 30만 배럴을 생산하는 엘 샤라라 유전의 가동이 중단됐다. 파생상품 중개 및 분석업체 오안다(OANDA)의 크레이그 얼람 수석 애널리스트는 “오늘 유가는 리비아 최대 유전에서의 시위와 홍해에서 발생한 추가 공격으로 인해 상승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중동 내 ‘반(反)이스라엘 진영’을 겨냥한 공격이 이어지면서 가자지구 전쟁을 둘러싼 중동 불안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같은 날, 이란에서 2020년 미국 드론에 의해 사망한 가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최고 사령관의 4주기 추모 행사에서 두 차례 폭발로 지금까지 103명이 숨지고 부상자도 200명에 육박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전날에는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외곽에서 무장 드론 공격으로 이란의 지원을 받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서열 3위 살레흐 알아루리 하마스 정치국 부국장 등이 숨졌다.
하루 간격으로 벌어진 이들 사건의 배후를 자처하는 집단이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이란은 배후로 이스라엘에 무게를 두면서 대응을 예고한 상황이다.
홍해에서도 이란의 지원을 받는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가 선박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면서 홍해와 페르시아만과 같은 중요한 석유 수송로가 폐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후티는 이날도 이스라엘로 향하는 프랑스 해운사 CMA CGM의 컨테이너선을 공격했으며 미국‧독일‧일본 등 12개국은 후티를 향해 홍해에서 선박 공격을 중단하지 않으면 책임을 지게 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런 와중에 OPEC은 지난달 앙골라가 탈퇴를 선언했으나 “OPEC과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 내 협력과 대화는 계속될 것”이라며 OPEC+는 내달 1일 회의를 열어 최근 감산 합의의 이행 여부 등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개한 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의사록에 따르면 이번 달에도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3월 인하 가능성도 여전히 점쳐지고 있다. 금리가 인하되면 차입비용이 낮아져 경제성장과 함께 석유 수요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석유협회(API)와 에너지정보청(EIA)은 이날과 4일 각각 석유 재고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신수정 기자 newcrystal@smartfn.co.kr
- 유류세·국제유가 인하했지만 기름값은 '찔끔'...업계는 여전히 시차 탓
- 국제유가 상승에도 표정관리 정유업계...'외부 시선' 눈치 보기
- 국제유가 상승, 10월 국제선 유류할증료 3단계 상승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 터널서 하마스 대원과 교전…다수 사상자 발생
- 바이든, “이스라엘 가자지구 점령한다면 큰 실수될 것”
- 올해 3분기 어느 항공사 많이 탔나...항공업계 4분기 국제유가 대응은?
- 가자지구 병원 폭발 '500명 이상 사망'…이슬람권 분노 시위 '격화'
- 기름값 4주 연속 하락...국제유가 약세 보여
- 이스라엘軍 밤사이 가자지구 급습...탱크·보병 이끌고 전면적 지상전 돌입시사
- 이스라엘 "하마스, 남쪽으로 도주...가자지구 통제력 잃었다"
- 이스라엘, '하마스 요새' 지목 가자지구 알시파 병원 전격 진입
- 이스라엘, 성탄절 가자지구 공습으로 250명 사망
- 우크라이나發 국제유가 급등에 한국석유·중앙에너비스·흥구석유 강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