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산업투자전략회의서 10대 제조업 투자 실적·계획 점검
반도체·자동차 투자확대…이차전지·철강 투자 위축
정부가 미국발 관세전쟁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올해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10대 제조업에 119조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제5차 산업투자전략 회의를 열고 10대 제조업 투자 실적 및 계획을 점검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반도체와 자동차 등 산업이 중심이 될 것 전망이다. 반도체 업계는 인공지능(AI)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 메모리 분야에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한다. 이는 한국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산업에서 선도적 위치를 유지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안 장관은 이날 “우리 기업이 국내 투자를 꾸준히 늘려나갈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는 단순한 유치를 넘어 국내 일자리 창출과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특히 AI 혁명에 대비한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미래 산업 경쟁력 확보에 대한 정부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다만 모든 산업 분야가 성장을 예상하는 것은 아니다. 이차전지와 철강 산업은 글로벌 수요 둔화와 공급 과잉으로 인해 투자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임시투자세액공제 연장, 금융 지원 확대, 통상 불확실성 해소 등을 요청했다. 대규모 투자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안 장관은 “기업의 국내 투자를 입법·자금·통상 측면에서 돕기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지역균형투자촉진법, 전력망법의 국회 통과에도 힘쓰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