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 부과 공식화…한국도 포함될 듯
“반도체, 자동차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
업계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제 부정적 영향 미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25% 추가 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한 데 이어 반도체와 자동차 등으로 관세 부과 대상을 확대할 것을 시사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정책이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풀이된다. 글로벌 무역 질서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조치는 예외나 면제 없이 모든 국가에 적용될 예정이며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형태다.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에 대해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오늘 단순화한다”며 “예외나 면제 없이 25%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어 “기본적으로 우리는 모든 알루미늄과, 모든 철강에 예외 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면서 “이는 미국에서 많은 업체가 개업하게 됨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결정은 미국 국내 철강 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로 보이나 동시에 여러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미국 내 철강 가격 상승으로 인해 자동차, 건설 등 철강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산업의 비용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캐나다, 멕시코 등 주요 무역 파트너국과의 관계가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반도체, 자동차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도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의 경우 자동차와 반도체가 주력 수출 품목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한국 경제에 미치는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는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을 본격화하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 이미 중국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한 데 이어 이번에는 국가를 가리지 않는 보편 관세를 도입함으로써 글로벌 무역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관련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확대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특정 산업을 보호할 수 있을지 모르나,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일 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첨단 산업으로의 확대는 기술 혁신과 국제 협력을 저해할 수 있어 우려된다.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비해 신중하고 유연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