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의 경영권 승계를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자금을 이용할 것이르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원래 예고했던 유상증자 규모를 대폭 줄였다. 

(사진 왼쪽부터)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퓰너 헤리티지재단 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 사진=한화그룹
(사진 왼쪽부터)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퓰너 헤리티지재단 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 사진=한화그룹

지난달 31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한화 지분 22.65% 가운데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했다. 증여 후 김승연 회장의 ㈜한화 지분율은 11.33%로 변경되고 김동관 부회장은 9.77%, 김동원 사장과 김동선 부사장은 5.37%가 된다.

한화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는 ㈜한화의 최대주주는 한화에너지가 되는데, 한화에너지는 지난해말 기준 한화 지분 22.15%를 갖고 있다. 그리고 김동관 부회장과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이 한화에너지 지분을 100% 갖고 있다.

김 회장의 지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를 보유하게 되면서, 사실상의 경영권 승계가 완료됐다.

한화 측은 김승연 회장의 지분 증여가 경영권 승계에 있어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지만,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달 예고한 '유상증자 규모 3조6000억원'에 대해서는 이 자금을 "대주주 경영권 승계 과정에 이용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여전했다.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규모 1조3000억원 줄여

이에 대해 8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사회를 열고 기존에 발표한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고 정정 공시했다.

축소된 1조3000억원 규모의 자금 확보는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추진한다.

자금 조달 목적별로는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이 2조4000억원에서 1조6억원으로, 시설자금이 1조2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각각 줄었다.

신주 발행 가격은 기존 60만5000원에서 53만9000원으로 15% 할인됐으며 청약예정일은 6월 4일에서 6월 5일로 하루 밀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공시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상증자 축소로 줄어들게 되는 확보 자금 1조3000억원을 한화에너지 등을 통해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한화그룹 본사 전경 /사진=한화그룹
한화그룹 본사 전경 /사진=한화그룹

"한화 3남, 한화에어로 제3자 배정 유상증자 할인 없다"

이 방식이 확정되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인 한화에너지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할인 없이 참여하게 된다.

이는 한화에너지 대주주가 희생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소액주주는 이득을 보게 되는 조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는 또한 지난 2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화에너지에 한화오션 주식 매각대금으로 지급한 1조3000억원을 다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되돌리는 셈이기도 하다.

한화오션 매각 대금 1조3000억원이 한화에너지 대주주의 경영권 승계 자금으로 쓰이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자 한화에너지가 이사들과 논의 끝에 이런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연합뉴스 등이 보도했다. 

이재규 한화에너지 대표는 "1조3000억원의 조달 목적은 승계와 무관한 재무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였고, 실제 자금 일부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쓰였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도 제3자 배정 유상증자 필요성에 대해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할 소액주주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기존 주주의 지분가치 희석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필요한 자금 3조5000억원을 모두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안보 지형 변화와 방산 경쟁 격화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에 필요한 자금이라고 밝힌 만큼 전체 유증 규모는 줄이지 않으면서 경영권 승계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