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뱅크가 통신데이터 기반의 대안신용평가 체계를 구축했다.
케이뱅크는 통신대안평가 모형 '이퀄'을 도입해 인터넷은행 중 최초로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대안신용평가에 나섰다고 15일 밝혔다.
이퀄은 통신 3사(KT·SK텔레콤·LG유플러스), 코리아크레딧뷰로(KCB), SGI서울보증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통신대안평가 모형이다. 국내 통신 3사 가입자 약 4800만명의 ▲요금납부 내역 ▲데이터 사용량 ▲부가서비스 이용현황 등 데이터를 분석해 신용평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퀄은 ▲시간대별 통화패턴 ▲금융앱 접속횟수 ▲멤버십 사용횟수 ▲소액결제 비율 등 500개 이상의 세부항목을 분석한다. 또한 통신 3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통신사를 변경하더라도 정보 단절 없이 신용평가가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케이뱅크는 이퀄 도입을 통해 기존에 활용 중인 네이버페이 스코어, BC·삼성·신한카드 가맹점 정보에 더해 통신데이터까지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퀄은 케이뱅크의 신용평가모형 '케이뱅크 CSS 3.0'과 함께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는 지난 3월 대출비교플랫폼 유입 고객 특성을 반영하는 CSS 3.0을 도입했다. 케이뱅크는 중저신용자와 씬파일러(금융 이력이 부족한 사람) 등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포용금융을 확대하고 고객의 금융 접근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다양한 비금융 데이터를 반영해 신용평가모형을 한층 고도화했다"며 "비대면 중심의 인터넷은행 특성에 맞춰 평가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차별화된 신용평가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KT AI 보이스피싱 탐지서비스, 2개월간 160억원 규모 피해 예방
- 케이뱅크, 신용평가모형 'CSS 3.0' 도입···"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기대"
- 케이뱅크, 'KT AI 보이스피싱 탐지' 도입···금융권 최초
- 케이뱅크,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 후순위 대환대출' 출시···기업금융 플랫폼 변신
- 케이뱅크, IPO 재추진···'세 번째 도전'
- 케이뱅크, 지난해 당기순이익 1281억원···역대 최대 실적
- 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명의도용 전액보상' 서비스 도입
- 케이뱅크, 1분기 순이익 161억원···전년比 고객수 32% ↑
- "IPO 삼수, 칼 갈았다"···케이뱅크, 삼성·NH투자증권 맞손
- 케이뱅크, 대학생 크리에이터 발대식···Z세대가 만드는 금융콘텐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