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소재 케이뱅크 사옥                                                                                                                                                                                                                . 사진=김준하 기자
서울 중구 소재 케이뱅크 사옥                                                                                                                                                                                                                . 사진=김준하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를 재추진한다. 

케이뱅크는 12일 이사회를 열고 IPO 추진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케이뱅크의 IPO 추진은 이번이 세 번째다. 케이뱅크는 2022년, 2024년 상장을 추진했으나 증시 부진 등을 이유로 각각 2023년 2월과 지난해 10월 철회한 바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첫 IPO 추진 당시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국내 증시가 악화됐고, 두 번째 IPO 때는 공모가가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해 증권신고서를 수정해야 했는데 국내 정치적 불안 때문에 증시가 다시 위축되며 결국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케이뱅크는 128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려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128억원)의 10배 수준이며 2022년 기록한 836억원을 넘어선 수치다. 지난해 신규 고객은 321만 명으로 총 고객 1274만 명이 됐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지난해 좋은 실적 덕분에 IPO를 재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적정한 시기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는 내년 7월까지 상장을 완료해야 한다. 케이뱅크는 2021년 7월 베인캐피탈·MBK파트너스 등 재무적투자자들(FI)로부터 유상증자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했는데, 이때 상장을 조건으로 하는 동반매각청구권(드래그얼롱) 조항이 설정됐다. 이 기한이 2026년 7월까지다.

드래그얼롱이란 투자자가 자신의 지분을 매각할 때 대주주의 지분도 함께 매각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다. 즉, FI들이 투자하는 대신 케이뱅크가 향후 IPO를 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고, IPO에 실패하면 FI들은 대주주의 지분까지 팔아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다. 

FI들은 2026년 7월까지 케이뱅크가 IPO를 완료하지 못하면 같은 해 10월까지 동반매각청구권과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