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뱅크가 KT가 안심통화 앱 '후후'를 통해 제공하는 'AI 보이스피싱 탐지 정보'를 금융권 최초로 금융사기 예방 시스템에 도입한다고 31일 밝혔다.
'AI 보이스피싱 탐지 정보'는 인공지능(AI)이 통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를 찾아내 경고하는 서비스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후후' 앱을 설치해 사전 고객 동의를 하면 이용 통신사와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케이뱅크는 이 서비스를 자사의 금융사기 예방 시스템에 연동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케이뱅크 고객이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통화를 하면 보이스 피싱 위험 감지 알림이 케이뱅크로 자동 전송된다. 케이뱅크는 위험 알림을 확인해 해당 고객의 계좌 이체를 일시적으로 지연·차단하거나 고객에게 직접 연락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도록 돕는다.
케이뱅크는 상반기 중 고객에게 직접 경고 알림을 자동 전송하는 기능을 탑재할 계획이다. 이 기능이 탑재되면 고객은 후후와 케이뱅크로부터 각각 알림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실제 보이스피싱 범죄자의 목소리를 학습해 음성 패턴으로 보이스피싱을 탐지하고, 이상 거래 패턴 분석 시스템에 외부 데이터를 학습시켜 탐지력을 높일 것이라고도 밝혔다. 더불어 딥보이스(음성 합성·복제) 등 피싱 수법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KT와 협력해 금융사기 예방 시스템을 고도화한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AI 기술을 활용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능동적 예방 시스템을 구축한데 의의가 있다" 며 "케이뱅크 고객이 더 안전한 금융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케이뱅크는 지난 2월 인터넷은행 최초로 금융 특화 대규모언어모델 (LLM)을 도입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 전북은행 예대금리차 8.45%p···역대 최대치 기록
- [주간금융] 5대 은행 금융사고, 1년여간 5000억원 규모···NH농협은행 직원 또 사망
- 케이뱅크,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 후순위 대환대출' 출시···기업금융 플랫폼 변신
- 케이뱅크, IPO 재추진···'세 번째 도전'
- 케이뱅크, 지난해 당기순이익 1281억원···역대 최대 실적
- 한국소호은행 "차별화된 신용평가···소상공인 금융 자신 있어"
- 5대은행, 지난해 국내외 과태료 50억 달했다
- KT AI 보이스피싱 탐지서비스, 2개월간 160억원 규모 피해 예방
- 케이뱅크, 인뱅 최초 통신대안평가 '이퀄' 도입
- KT, '미디어 사업' 5천억 투자…AI 적극 활용 'KT 미디어 뉴웨이' 전략
- 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명의도용 전액보상' 서비스 도입
- 케이뱅크, 1분기 순이익 161억원···전년比 고객수 3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