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뱅크가 신용평가모형 '케이뱅크 CSS 3.0을 도입했다고 3일 밝혔다. 이 모형은 대출비교플랫폼 유입 고객, 중저신용자, 부동산담보대출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케이뱅크는 CSS 3.0이 은행권 최초로 대출비교플랫폼을 통한 유입 고객의 특성을 반영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출비교플랫폼은 접근성이 높아 다중채무자, 개인사업자, 금융이력 부족자(씬파일러) 등 다양한 고객이 이용한다. 케이뱅크는 이들의 특성을 반영해 신용평가의 정확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비대면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에 특화된 평가모형도 함께 도입했다. 이는 기존 가계 아파트담보대출용 평가모형을 대체한 것으로, 운영 데이터와 시장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아울러 KCB 신용점수 하위 50% 이하의 중저신용자를 위한 신용평가모형도 도입됐다. 기존 금융정보 외에도 통신 이용 패턴, 부동산 시세 등 대안 정보 등 49개 평가 항목을 분석함으로써 신용평가의 정밀도를 높였다는 설명이다. 케이뱅크는 이를 통해 대출 승인 여부가 불분명한 중저신용자에게 더 많은 대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드러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2017년 출범 당시부터 비대면 중심의 CSS를 개발해왔고, 이번 CSS 3.0은 포용금융 확대와 상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진화"라며 "앞으로도 CSS를 지속적으로 고도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카카오뱅크, '햇살론뱅크' 출시···최대 2500만원 지원
- 신한금융, 미얀마 지진피해 복구 위해 1.4억원 긴급 지원
- 5대은행, 지난해 국내외 과태료 50억 달했다
- 이복현 "상법개정안 거부권 유감···사의 밝혔지만 반려"
- 금리인하 기대감에 부동산 시장 촉각
- 한국소호은행 "차별화된 신용평가···소상공인 금융 자신 있어"
- 토스뱅크, 지난해 순익 457억원···연간 첫 흑자
- 예대차 '극과 극'이 만났다···카뱅-전북銀 공동대출, 금리 괜찮을까
- 카뱅 금융기술연구소 출범 4주년···"차별화된 금융 기술 만들 것"
- 케이뱅크, 인뱅 최초 통신대안평가 '이퀄' 도입
- 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명의도용 전액보상' 서비스 도입
- 케이뱅크, 1분기 순이익 161억원···전년比 고객수 32% ↑
- LG CNS, 국내 3대 신용평가 모두 신용등급 'AA' 평가 받아
- "IPO 삼수, 칼 갈았다"···케이뱅크, 삼성·NH투자증권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