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높은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라는 '이중고'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6일(현지시각) 시카고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파월 의장은 "관세가 단기적으로라도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파월 의장은 "현재까지 발표된 관세 인상 수준은 예상보다 훨씬 높다"며 "이는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고 관측했다.
특히, 그는 "연준이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관세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는 동시에 경제 성장이 둔화될 경우, 연준이 금리 인상과 인하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파월 의장은 "만약 그러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연준은 경제가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그리고 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를 신중하게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준은 현재 최대 고용 유지와 인플레이션 2%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고,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이러한 전통적인 정책 대응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 금리인하 기대감에 부동산 시장 촉각
-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수익형 부동산' 살아나나
- [주간금융]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 "홈플러스 사례 본 적 없어"···한국거래소 초유의 '먹통' 사태
- 美, 기준금리 4.25~4.50%로 동결...韓 4월 금리 영향받나
- '치솟는 금값' 골드뱅킹 1조원 코앞…골드바 없어서 못 판다
- '경기침체' 공포에 美 나스닥 4%↓…빅테크 주가 폭락
- [주간금융] 한투증권 882억원 불판 덜미···메리츠화재 '공포마케팅?', 설계사 사칭 정황
- 트럼프 "우리는 황금시대···中, 협상 안하면 우리가 숫자 결정"
- 트럼프 한국·일본·인도 무역합의 가능성 제기
- 미 연준 기준금리 동결···"관세 불확실성 커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