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사진=연합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사진=연합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부터 발효됐다. 3월 26일 발표한 포고문에 따라, 오전 0시1분(미 동부시간)부터 수입 자동차 부품의 고율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됐다.

지난달 3일부터 적용된 외국산 완성차 관세에 이어 두 번째 단계다. 미국은 자동차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글로벌 공급망과 무역에 미치는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미국 내 완성차 생산업체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일부 유예 조치도 병행했다. 지난달 29일 서명한 수정 포고문에 따르면, 4월 3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는 미국에서 조립된 차량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2027년 4월까지는 10% 수준까지 면제 비율을 조정한다.

알루미늄·철강·자동차·부품 등 복수 품목에 걸친 관세가 중복 적용되지 않고 중복되는 경우 자동차와 부품 관세를 우선 적용하는 별도 행정명령도 발동했다.

한국 부품업계, 관세 유예에도 타격 불가피

관세 일부 유예에도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는 불확실성과 수요 위축으로 인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고율 관세는 완성차 가격 상승을 유발하고 외국산 부품의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로 확대됐다. 미국 전체 자동차 부품 수입에서 한국산은 6.4%를 차지하며, 약 135억 달러(19조 원)에 이른다.

품목별로는 전동화 부품(배터리, 모터 등) 30억 달러, 새시 및 구동축 부품 30억 달러, 전자·전기 부품 25억 달러, 차체 및 외관 부품 23억 달러, 엔진 및 부품 13억 달러, 타이어 및 튜브 8억 달러 등이다.

이들 품목은 대부분 미국 완성차 브랜드는 물론 글로벌 브랜드의 현지 공장에서 조립 생산 과정에 사용된다. 관세가 적용되면 단가 인상 압박과 함께 공급 물량 조정 가능성도 제기된다.

업계는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지 생산 확대, 수출국 다변화, 고부가가치 부품 중심의 구조 전환 등 대응 전략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