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대용량 플레인 요거트 시장 193억 원, 2년 만에 2배 성장

사진=남양유업
사진=남양유업

남양유업은 닐슨코리아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국내 오프라인 경로에서 '떠먹는 발효유' 전체 시장이 4,886억 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2022년 대비 연평균 성장률(CAGR)이 4.4%로 완만한 성장세를 보인 수치다. 반면, 발효유 시장 내에서도 '대용량 플레인 요거트'는 같은 기간 90억 원에서 193억 원으로 2배 이상 성장, CAGR 46.4%를 기록했다.

남양유업은 이 같은 급성장의 배경으로 홈메이드 그릭 열풍을 꼽았다. 그릭 요거트는 당 함량이 적고 단백질 함량이 높아 건강한 식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인기다. 이에 따라 플레인 요거트를 활용해 가정에서 직접 그릭 요거트를 만드는 사례가 늘어나며 대용량 제품의 실용성과 가성비가 부각되고 있다.

남양유업은 지난 1월 오픈서베이를 통해 대용량 플레인 요거트 구매자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약 40%가 제품 구매 이유로 '가성비'를 꼽았다.

조태준 남양유업 브랜드매니저(BM)는 "홈메이드 그릭 열풍은 단순히 건강 트렌드에 그치지 않고, 플레인 요거트의 소비 빈도와 소비량을 동시에 늘리는 구조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대용량 제품이 ‘가성비템’으로 자리 잡으며 새로운 소비층을 흡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시장에는 1L 이상의 대용량 요거트 제품이 꾸준히 출시되면서 대용량 요거트가 독립적인 카테고리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다. 유통업계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대용량 발효유 제품을 전면 배치하거나 행사 품목으로 적극 활용하며 대용량 제품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남양유업은 이러한 대용량 수요 증가 흐름에 맞춰 지난달 1.8kg 용량의 ‘불가리스 플레인 요거트’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1g당 약 5.6억 CFU의 생유산균을 함유해 한 병 기준 약 1조 마리 이상의 생유산균을 제공한다. 또한 1회 제공량(100g)당 칼슘 함량도 110mg에 달해 성장기 어린이부터 건강 관리를 위해 요거트를 즐기는 성인까지 온 가족이 섭취하기 적합하다.

'바이오프로텍션(Bioprotection)' 기술을 적용해 발효유에 곰팡이나 효모가 자라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안정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그릭 요거트 제조 시 외부 노출로 인한 부패 가능성을 줄여 가정에서 안전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