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유심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유심을 교체하지 않아도 유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유심 재설정' 기능을 도입했다.
12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유심 재설정을 통해 유심에 존재하는 '사용자 식별·인증 정보' 및 '사용자 직접 저장 정보' 중 사용자 식별·인증 정보 일부를 새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해당 정보가 변경되면 누군가 기존에 유출된 유심 정보를 이용해 복제를 시도하더라도 시스템 접속이 차단된다. 네트워크의 여러 기능이 동시에 작동돼 유심 교체와 동등한 효과를 제공한다고 SK텔레콤 측은 설명했다.
유심 재설정은 변경하는 정보 외 유심 내 사용자 저장 정보를 유지할 수 있어 유심 교체와 달리 금융인증서나 티머니, 연락처 등을 재설정할 필요도 없다.
금융기관 신규 인증도 필요 없다. 유심과 이심(eSIM) 사용자 모두 이를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기존 유심 교체와 마찬가지로 우선 유심 교체 문자를 받고 T월드 매장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재설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후 대상 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다. 유심 재고 물량이 늘어나는 12일부터 유심 교체 예약 고객에게 예약 일정 안내를 확대할 계획이다.
유심 재설정을 진행한 고객이 실물 유심으로 교체를 원할 경우 전국 T월드 매장에서 1회 무료로 교체할 수 있다.
11일 진행된 일일 브리핑에서 SK텔레콤은 고객 중 총 143만명이 유심을 교체했고 교체 신청 뒤 대기하는 잔여 예약 고객은 722만명이라고 밝혔다. 다음 달까지 유심 물량 1077만개가 들어올 예정이다.
임봉호 SK텔레콤 MNO 사업부장은 "다음 주부터 유심 재고량이 부족해서 교체를 못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류정환 SK텔레콤 인프라 전략기술센터 담당(부사장)은 유심 재설정에 대해 "(해킹 사태) 초반에는 유심 부족, 유심 교체 후 금융기관 재인증 문제 등 불편함이 있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해당 기능을 도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심 재설정은 교체와 달리 별도 인증 절차 없이 다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다"며 "다만 삼성페이의 경우 재설정 후 2번 정도 클릭하는 과정만 거치면 사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SK텔레콤 측은 유심 재설정 과정에서 대리점과 본사 서버 간 교신 시 보안 우려는 없다고 밝혔다. 다만 망을 통해서 유심 정보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셀프 유심 재설정'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위약금 규모 2500억원···250만명 이탈할 것"
- '잔인한 4월' 삼성·SK·CJ 등 대기업 왜 해킹당했나?
- SK텔레콤 "결합 상품 일부 가입자 이탈시 잔여 할인 유지 여부 미정"
- SK텔레콤, 해킹 사태 이후 고객 24만8천명 이탈
- [현장] 최태원 회장 "해지 위약금, SK텔레콤 이사회 논의 중"
- SK텔레콤, 해킹당한 HSS가 뭐야···얼마나 위험해?
- "해외 로밍 고객도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적용 업그레이드"
- SK텔레콤, "전체 유심교체 20% 유심 재설정 솔루션 이용"
- '삼성페이' 결제 장애···삼성전자 "파악 중"
- 지난 2일 '삼성페이 장애' 원인에 "SDS 데이터센터 방화벽 오류" 지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