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판매 더 위축 우려···올해 내수 목표 1.5만대 그쳐
비자레알 한국GM 사장 "사업장 지속 가능성 유지 조치"
미국 관세로 인해 철수설이 제기됐던 한국GM이 전국 직영 서비스센터와 부평공장의 일부 유휴 시설 매각에 나섰다.
28일 한국GM은 "급변하는 산업 및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재정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해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협의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GM은 우선 전국의 9개 GM 직영 서비스센터를 순차적으로 매각한다고 밝혔다. 고객 지원 서비스는 386개 협력 정비 센터를 통해 계속 제공하면서 매각 후에도 직영 서비스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고용은 보장한다는 설명이다.
부평공장의 유휴 자산 및 활용도가 낮은 시설과 토지 매각에 대해서도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협의할 예정이다. 자산 매각 등을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기관으로부터 자산 가치 평가를 받겠다고 덧붙였다.
매각 결정으로 한국 철수설에 휩싸인 한국GM은 내수가 더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지난해 49만 대를 판매했지만 이 중 국내 판매는 2만 대에 불과했다. 사측은 올해 판매 목표를 1만5500대로 제시했다.
헥터 비자레알 GM 아태지역 및 한국사업장 사장은 "임직원 여러분들의 노력 덕분에 회사의 재정 상태를 개선하는데 큰 진전을 이뤘다"며 "유휴 자신의 가치 극대화와 적자 서비스센터 운영의 합리화가 회사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현재 차량 생산프로그램은 아직 수년이 남아 있으며, 회사의 비즈니스 효율성 확보가 중요해 이번 조치를 취했다"고 했다.
관련기사
- 쉐보레, 아웃도어 감성 대표 차종 전시···코베아 캠핑 페스티벌서 고객과 소통
- '철수설 부인' 한국GM…속내는?
- 한국GM, 철수설에 "신차 늘리고 공장 돌린다···루머 무대응 원칙"
- 캐딜락 아이코닉 SUV ‘더 뉴 에스컬레이드’ 오는 16일 국내 출시
-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대미 품목관세로 4월 車생산 꺾여
- 한국GM 자산 매각한 자리 BYD 들어오나
- GM, 어린이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안전 최우선 가치 확대
- 한국GM 노조, 잇단 파업 강행···'철수설·임금 갈등'에 악화일로
- 한국GM,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 후원···차세대 자동차 인재 양성 앞장
- 노란봉투법 후폭풍···GM '구조조정 가능성' 경고, 한국GM 철수설 현실화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