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별 기업대출 부실지표도 9∼11년 만에 가장 나빠
은행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한계 기업과 가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미 올해 들어 5개월 사이 기업·가계 연체율이 높게는 0.2%포인트(p) 이상 뛰었다. 특히 가계와 개인사업자(자영업자) 대출의 부실 지표는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다.
하반기 본격적인 미국 관세 충격이 더해져 내수뿐 아니라 수출 관련 기업도 타격을 입게되면 한국 경제의 뇌관인 '부실 대출' 위험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5월 말 기준 전체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 평균값(이하 단순평균)은 0.49%로 집계됐다. 4월 말(0.44%)보다 0.05%p 올랐을 뿐 아니라 작년 12월 말(0.35%)과 비교하면 다섯 달 사이 0.14%p나 높아졌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대출 주체별 연체율은 ▲ 가계 0.36% ▲ 대기업 0.18% ▲ 중소기업 0.71% ▲ 전체 기업 0.60%로, 지난해 말보다 각 0.07%p, 0.17%p, 0.22%p, 0.20%p 뛰었다.
경기 부진에 가장 취약한 계층인 자영업자·소상공인 등 개인사업자 대출의 부실 징후는 더 뚜렷하다. 5대 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만 따로 보면 5월 말 평균 0.67%로 한 달 만에 0.06%p 올랐고 지난해 말 (0.48%)보다 0.19%p 뛰었다.
고정이하여신(3개월이상 연체·NPL) 비율 상승 속도 역시 빠르다. 5월 집계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우리은행을 빼고 4대 은행(KB·신한·하나·NH농협)의 5월 말 현재 전체 원화 대출 대비 NPL 비율은 평균 0.45%다. 작년 말(0.33%) 이후 올해만 0.12%p 치솟았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0.16%p·0.49%→0.65%)과 전체기업(0.12%p·0.41%→0.53%)의 상승 폭이 컸다. 가계대출 NPL 비율도 기업만큼은 아니지만 올해 들어 0.11%p(0.23%→0.34%) 뛰었다. 가계·개인사업자·기업대출의 부실 위험 지표는 9~11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은행권은 대출 부실 지표 악화 배경으로 불황과 고금리 장기화 등을 지목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소비 등 내수와 수출이 부진하고 대내외 불확실성도 커지면서 금융권의 부실 자산이 늘어나고 있다"며 "최근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시장금리가 떨어지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고금리 상태가 앞서 수년간 이어진 것도 연체율 상승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올해 미국 관세정책의 영향으로 국내 기업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소비 심리 회복도 지연되면서 경제 성장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우려된다"며 "당분간 연체율이 계속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