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사진=김준하 기자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사진=김준하 기자

지난 2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8%였다. 전월 대비 0.05%p, 전년동월 대비 0.07%p 상승한 수치다. 이 수치는 2018년 11월(0.60%) 이후 63개월 만에 최고치다.

금감원은 "중소법인·개인사업자 등 중소기업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한 것에서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연체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2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3조2000억원)보다 3000억원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8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8000억원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68%로 전월보다 0.07%p, 전년 동월보다 0.09%p 상승했다. 이 중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이 비교적 크게 올랐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0%로 전월 대비 0.05%p 상승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0.08%p 하락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4%로 전월보다 0.07%p, 전년 동월보다 0.14%p 올랐다. 세부적으로 중소법인 연체율은 0.90%(전월 대비 +0.08%p),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76%(+0.06%p)로 각각 상승세를 보였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과 같은 수준이었으며, 주택담보대출 연체율도 0.29%로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9%로 전월보다 0.05%p 상승했다.

금감원은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 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