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지점 시험 운영···8월 말 전국 영업점 설치
실효성, 내부통제, 직원만족도 측면 뚜렷한 성과

우리은행이 은행권 처음으로 ‘스마트 시재관리기’를 전국 영업점에 전면 확대 도입하고, 디지털 기반 내부통제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정진완 은행장의 강력한 디지털 혁신 의지 아래 추진된 핵심 전략 과제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내부통제 강화로 금융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지점 창구업무를 효율화하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앞서 우리은행은 전국 10개 영업점에서 ‘스마트 시재관리기’를 시험 운영한 결과, ▲실효성 ▲내부통제 ▲직원만족도 측면에서 뚜렷한 성과를 확인했다. 이에 따라 오는 30일부터 8월 말까지 전국 영업점에 설치를 완료해 출납 자동화 체계를 완성할 계획이다.
‘스마트 시재관리기’는 창구직원이 시재를 기기에서 직접 입출금하고 보관할 수 있는 자동화 장비로, 기존 수작업 금고 관리 체계를 대체하는 혁신적 시스템이다. 특히, 기존 출납 자동화기기가 100매 단위로만 인수·출고 가능했던 것과 달리, ‘스마트 시재관리기’는 낱장 단위까지 세밀하게 관리가 가능해 시재 운영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대폭 강화했다.
또한 ▲시재 입출 내역의 실시간 모니터링 ▲오류 발생 시 즉시 감지·통보 ▲시재 정산 자동화 등이 가능해, 직원의 시재관리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시재금 사고 발생 가능성도 구조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됐다.
정 행장은 “이번 스마트 시재관리기 전면 확대는 단순한 출납 자동화를 넘어, 디지털 내부통제 혁신의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관행적으로 처리되던 불합리한 업무를 과감히 개선하고, 실효성 있는 진짜 내부통제를 통해 신뢰받는 우리은행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자금애로 겪는 수출·내수기업 긴급 지원"
- 우리은행, 20일부터 부동산대출 우대금리 조건 간소화
- '연임 갈림길' 임종룡 회장, 종합금융그룹 완성은 'A+'···내부통제 실패는 '아킬레스건'
- 치솟는 은행 연체율···가계·자영업자 11년만에 최고
- 우리은행 인니 법인, 최대 1079억원 금융사고 발생
-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銀, 본인확인 서비스 연동한다
- 은행권 정기예금, 실질금리 0%대···1년여간 1200만 계좌 사라져
- 우리은행, 생성형 AI 기반 운영리스크 상담 시스템 '운영GPT' 도입
- 우리은행, 조직개편 단행···"고객중심 조직 구축"
- 우리은행, 기업자금관리 서비스 ‘WIN-CMS’ 전면 리뉴얼
- 우리은행, 상반기 민생금융 2820억원 지원···계획보다 62억원 초과
- 우리은행, 채무조정 전담조직 신설···소상공인·취약계층 재기 지원 강화
- 우리은행, 본점 딜링룸 새단장···글로벌 금융시장 대응 역량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