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 잔량' 기준 상위 5대 코인 모두 앞서

빗썸 CI
빗썸 CI

빗썸이 지난 한 달 동안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유동성을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시장 점유율 1위인 업비트에 비해 빗썸이 더 많은 유동성을 기록하면서 국내 가상자산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빗썸은 유동성이 높다는 것에 대해 "매수·매도 호가가 두텁게 형성돼 투자자들이 원하는 가격에서 거래를 체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동성이 높으면 "대규모 거래가 발생하더라도 시장 충격이 적어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빗썸은 프랑스의 시장데이터기업 카이코의 데이터를 인용하며 최근 4주(2월 2일~3월 1일) 동안 대표적 유동성 지표인 '호가 잔량'에서 빗썸이 국내 거래소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호가 잔량은 특정 가격에 거래하기 위해 대기 중인 매수·매도 주문의 수량을 의미한다.

이 데이터는 가상자산별 호가 잔량 금액을 기준(하루 평균가격 ±1% 범위)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빗썸과 업비트를 대상으로 집계됐다. 분석 결과, 1월까지 업비트의 우위로 나타나던 유동성 지표가 2월부터 처음으로 역전돼 빗썸이 앞서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거래소에 동시 상장된 가상자산 약 150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빗썸의 최근 4주 평균가 ±1% 내 호가 잔량 금액은 1조7857억원으로 업비트(1조6779억원)보다 컸다. 양사에 동시 상장된 거래대금 상위 30개 거래 종목을 비교해도 빗썸이 1조4765억원, 업비트가 1조3509억원을 기록하며 빗썸이 우위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5대 코인 역시 빗썸이 유동성에서 우위를 보였다. ▲비트코인(빗썸 180억원, 업비트 141억원) ▲이더리움(각각 437억원, 355억원) ▲리플(각각 1046억원, 915억원) ▲테더(각각 1조558억원, 9344억원), ▲솔라나(각각 376억원, 191억원) 등에서 빗썸이 더 높은 유동성 지표를 기록했다.

빗썸 관계자는 "호가 잔량은 대표적인 유동성 지표이자, 향후 거래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선행적 지표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면서 "앞으로도 투자자들에게 풍부한 유동성과 안정적 거래 환경을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