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가 비금융 데이터로만 이뤄진 대안신용평가모형을 통해 1조원 규모의 중·저신용 대출을 추가 공급했다고 29일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대안 정보만으로 구성된 신용평가모형 '카카오뱅크스코어'를 업계 최초로 개발해 이를 2022년 말부터 신용대출 심사에 적용했다. 카카오뱅크스코어 적용 후 약 2년 6개월 동안 취급한 중·저신용 대출 중 15%(건수 기준)는 기존 모형으로는 거절 대상이지만 유통·이체 정보 등 대안정보로 이뤄진 평가모형에 의해 추가 선별된 중·저신용자에게 공급됐다. 공급액 기준으로는 약 1조원 규모의 중저신용 대출이 추가 승인됐다.
또한, 여러 사업장 정보를 가명정보로 결합한 '소상공인 업종 특화 신용평가모형'을 개발해, 금융 접근성이 낮은 업종의 음식업 사업자와 온라인 셀러 등도 평가한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말 중·저신용 대출 잔액은 4조9000억 원, 비중 32.8%로 역대 최고치였다. 2017년 7월 출범 이후 카카오뱅크가 취급한 중·저신용 대출은 누적 13조원을 넘었다.
카카오뱅크는 "대안신용평가모형을 통해 금융정보 기준 모형으로는 대출이 거절된 중·저신용 고객에게도 대출을 제공함으로써, 금융 소외 계층에 대한 신용 평가의 정확성과 포용성을 높이고 있다"며 "씬파일러, 사회초년생 등 그동안 전통적 신용평가 시스템에서 소외됐던 금융 소비자에 대한 공정하고 정교한 신용평가 체계 구축의 열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주간금융] 11억 은행 횡령범, 18년 만에 잡혔지만···SC제일은행에선 130억 부당대출 발생
- 카카오뱅크 '달러박스' 출시 후 1년···누적 이용자 수 107만명
- 카카오페이 다음은 카카오뱅크···스테이블코인 상표권 출원
- 카카오뱅크, 태국 가상은행 진출한다···25년 만의 한국계 은행 쾌거
- 카카오뱅크, 앱에서 '상담챗봇' 만난다
- 카카오뱅크, NICE평가정보 맞손···70여개 금융사에 '대안신용평가스코어' 개방
- 토스, 누적 외국인 가입자 46만명···베트남 고객 85% 급증
- 카카오뱅크, 상반기 순이익 2637억···전년比 14% ↑
- 카카오뱅크, LG전자와 제휴 적금 출시···저축+가전 혜택 한 번에
- 카카오뱅크, 채무조정 신청부터 서류 제출까지···모바일로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