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롯데카드가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와 관련해 “현재까지 부정사용 피해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며 고객 보호조치를 강화하고 전액 보상을 약속했다.
롯데카드는 24일 고객 보호조치 진행 상황을 발표했다. “이번 사고로 불안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을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며 “대표이사 주재 전사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해 고객 피해 ‘제로(0)’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지난 9월 18일 고객정보가 유출된 297만명에게 개별 안내 메시지를 발송했으며, 이 가운데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는 28만명에게는 카드 재발급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안내전화도 병행했다. 19일에는 유출되지 않은 고객에게도 ‘미유출 안내’를 보내 불필요한 불안감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9월 1일부터 23일 오후 6시까지 고객정보가 유출된 전체 고객 297만명 중 카드 재발급 신청 고객은 약 65만명, 카드 비밀번호 변경 고객 약 82만명, 카드 정지 약 11만명, 카드 해지 약 4만명으로 나타났다. 중복을 제외하면 전체 유출 고객의 43%인 128만명에 대해 보호조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특히 부정사용 위험이 있는 28만명 중 68% 수준인 19만명에게는 카드 재발급 신청, 비밀번호 변경, 카드 정지 및 해지 등의 고객 보호조치가 시행됐으며 추석 연휴 전까지는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롯데카드는 “현재까지 이번 사고로 인한 부정사용 시도나 실제 피해 사례는 단 한 건도 확인되지 않았다”며 “피해가 의심될 경우 전담 상담센터를 통해 즉시 대응하고, 고객에게 부정사용 입증 책임을 전가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피해 사례가 접수되면 대금 청구를 중지하고 자체 검증 후 고객에게 결과를 안내하며, 피해 발생 시 전액 보상하겠다고 덧붙였다.
롯데카드는 “고객정보 유출로 인한 2차 피해에 대해서도 연관성이 확인되면 전액 보상할 것”이라며 “신속한 피해 차단과 고객 불편 최소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해킹 잇따르는데···카드사들, 정보보호 투자 ‘뒷걸음’
- 롯데카드 주인은 롯데가 아니다···기업 신뢰 하락에 임직원 정보 유출까지
- [주간금융]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유출···금감원 대규모 시위
-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200GB 정보 유출···"전액 보상"
- 롯데카드 해킹 충격···피해 규모 대폭 확대
- 신한카드, 중소 지자체 위한 AI 분석 솔루션 개발···"2개월 무상 제공"
- [주간금융] 코스피 3400대 아래로···금융감독체계 개편안 철회
- '국가 전산망 멈췄다' 대전 국정자원 전산실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 카드사 가맹점 수수료 5년 만에 감소···영세·중소 우대율 인하 영향
- 국감 선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의 재확인···"5년간 1100억원 정보보호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