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14일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최근 해킹 사고와 관련한 국회의원들의 집중 질의를 받았다. 조 대표는 향후 5년간 1100억원 규모의 정보보호투자 약속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또한 해킹 이후 정보보호투자 대신 마케팅 비용이 늘어난 배경에 대해 "미리 약속된 예산이었다"고 해명했다.
조 대표 "연말까지 정보보호투자 계획 이사회에 보고할 것"
조 대표는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5년간 1100억원의 정보보호 투자를 약속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이어 "(조 대표의 임기가 끝나는) 내년 3월 30일 임기 이후 계획은 어떻게 되느냐"는 질의에는 "현재 컨설팅을 통해 계획을 마련 중이며, 연말까지 이사회에 별도 안건으로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롯데카드는 지난 9월에도 정보보호 투자에 5년간 1100억원을 쏟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해킹 피해 이후 정보보호 예산 증가율은 0%인데 마케팅 예산은 15% 오른 이유가 무엇이냐"고 지적했다. 조 대표는 "10월에 추석이 있어 편성된 비용이고, 8월에 이미 제휴처와 약속한 것이라 일방적으로 중단할 수 없었다"고 답했다. 이어 조 대표는 "9월과 10월에 정보보호에 180억원을 투입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 의원이 "피해 고객 297만명에게는 안내 문자를 발송했는데, 미유출 고객에게는 제때 통지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냐"고 질의하자, 조 대표는 "(9월) 19일에 미유출 회원에게 문자를 발송했다"며 "LMS 문자메시지는 한 시간당 50만명까지 발송 가능해, 밤 시간대에는 발송을 중단하고 다음날 오전 8시부터 발송을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롯데카드 "부정사용 가능성 있는 고객 28만명 중 22만명 조치 완료"
롯데카드가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는 고객 28만명 중 재발급 신청자 22만명(일부 특수카드 제외)에 대한 조치가 완료됐고, 재발급 신청 121만건 중 119만건(98%)의 재발급이 마무리됐다.
28만명 중 약 23만명(82%)의 카드 재발급·비밀번호 변경·정지 등 보호조치가 완료됐고, 15일부터는 재발급 미신청 고객의 온라인 결제를 제한할 계획이다. 정보가 유출된 전체 고객 297만명 중 146만명(49%)에 대한 보호조치도 완료됐다.
롯데카드는 "297만명 중 28만명을 제외한 269만명의 경우, 카드 부정사용 발생 가능성이 없어 카드 재발급을 할 필요는 없다"며 "297만명 이외 고객의 정보는 일절 유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안을 해소하고 싶은 고객은 롯데카드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비밀번호 변경, 해외거래 차단, 카드 재발급 등을 신청하면 된다"며 "이번 침해 사고로 인해 발생한 피해에 대해서는 롯데카드가 책임지고 피해액 전액을 보상하겠다"고 약속했다.
- 역대 최대 기업인 증인출석···2025국감 '관전포인트'
- 카드사 가맹점 수수료 5년 만에 감소···영세·중소 우대율 인하 영향
- 롯데카드 “사이버 침해 사고 피해 전액 보상…보호조치 진행 중”
- "금융권 IT 인력 비중 11% 불과"···업권·회사별 격차 뚜렷
- 롯데카드 주인은 롯데가 아니다···기업 신뢰 하락에 임직원 정보 유출까지
- [주간금융] 국감서 질타받은 김병주 MBK 회장···민중기 특검, '비상장주 수익' 해명
-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 "명륜당 대출 종료에 애로사항"···김용만 의원 "말이 되나"
- 국감서 삼성생명 '일탈회계' 문제 제기···이찬진 "공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