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은행, Sh수협은행. /사진=김준하 기자
NH농협은행, Sh수협은행. /사진=김준하 기자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NH농협은행과 Sh수협은행이 주가조작 의혹이 제기된 도이치모터스 및 계열사에 최근 5년간 1200억원이 넘는 자금을 대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협은행이 도이치모터스에 100억원의 무담보 대출을 내준 것이 국정감사에서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27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은행과 수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두 은행은 2020년 이후 도이치모터스, 도이치오토월드, 도이치파이낸셜, 도이치아우토 등 4개사에 총 1213억원을 대출했다.

이 중 농협은행이 533억원, 수협은행이 680억원을 각각 대출을 집행했다. 농협은행의 대출잔액은 391억8300만원, 수협은행은 436억5200만원으로 총 828억3500만원이 미상환 상태다.

세부적으로 수협은행은 도이치모터스에 100억원, 도이치파이낸셜에 30억원, 도이치아우토에 20억원, 도이치오토월드에 286억5200만원의 잔액이 남아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농협은행의 대출잔액은 도이치모터스 69억원, 도이치파이낸셜 27억8300만원, 도이치아우토 60억원, 도이치오토월드 235억원 등이다.

윤 의원은 "농어민과 어업인의 안정적인 금융 생활을 지원하고자 설립된 특수은행이 주가조작 혐의 기업에 1200억 원이 넘는 자금을 대출한 것은 설립 취지에 정면으로 반한다"며 "기업 부실이 은행의 건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는 협동조합 금융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도 수협은행의 대출에 관한 질의가 이어졌다.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주가조작 판결로 휘청한 회사에 수협이 오직 신용만으로 100억원 대출했다"며 "2024년 10월까지 수협 단위조합이 추가로 548억원을 대출해줬다"고 지적했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아시다시피 중앙회장이 대출에 대해서는 지역이든, 중앙이든, 은행이든, 일체 관여를 할 수 없는 구조가 은행법으로 (명시)돼 있다"며 "1%도 관여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어기구 농해수위 위원장이 "중앙회장님은 이게 정상적인 대출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냐"고 묻자 노 회장은 "금융위원회에서 지적받아서 강도 높게, 한 달이 걸리더라도 찾아내라고, 일벌백계하겠다고 이야기했다"고 답했다.

금융권의 도이치모터스 및 관계사에 대한 '특혜성 대출' 의혹은 국정감사에서 주요 쟁점 중 하나였다. 농협은행과 수협은행 외에도 도이치모터스에 은행들이 대규모 대출을 하며 특혜를 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지난 24일에는 양종희 KB금융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 방성빈 부산은행장 등이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으나 22일 증인 소환이 전면 취소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