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IBK기업은행이 대규모 부당대출 사태 이후 수립한 쇄신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쇄신 계획은 ▲여신 프로세스 ▲내부통제 ▲조직문화 ▲검사업무 ▲경영진 책임 강화 등 5개 부문의 16개 과제로 구성됐다. 기업은행은 현재까지 13개 과제를 이행했다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은 이달부터 부점장급 이상 임직원을 대상으로 가족정보를 DB에 등록하기 시작했다. DB 등록은 자율적으로 진행되며, 별도의 등록 기간을 정하지 않고 수시로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 등록된 정보는 내부통제 절차에 활용된다. 앞으로 임직원 가족에 관한 여신은 시스템을 통해 영업점장의 전결권이 자동으로 제한되며, 심사센터 전결 여신은 본부 여신심사부에서 심의·의결한다.
또한, 이해상충 예방 체크리스트를 신설해 팀장급 이상에 대해 모든 여신 의사결정 마다 임직원 가족 및 퇴직직원 관련 여신 여부, 이해상충 해당 여부 등을 점검하도록 제도화했다. 준법 제보 활성화를 위해 외부 독립 제보 채널을 도입하고, 제보자에 대한 인사 및 평가상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절차와 비위 행위자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내부 규정에 반영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3월 외부 전문가 위주의 IBK 쇄신위원회를 구성해 현재까지 총 네 차례 회의를 거쳐 각 과제의 이행 현황을 점검했다.
쇄신위원장을 맡은 정순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번 쇄신안은 IBK 내부통제 체계 전반에 대한 변화와 쇄신을 통해 부당대출 등 이해상충 행위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완성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에도 꾸준한 점검과 함께 실효성 있는 정착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쇄신안 과제가 현장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소통을 이어갈 계획"이라며 "이번 쇄신 노력을 통해 '금융사고 제로화'를 실현해 국민과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 [주간금융] '3089억원 횡령' 경남은행 직원 35년형 확정···상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 기업은행 50억 부당대출 뒤늦게 수면 위로···"지난해 종결, 상환 완료"
- IBK기업은행, 국제금융협회 가입
- "속출하는 금융사고"···금융권, 올 상반기 1조411억 규모 털렸다
- "또 부당대출"···IBK기업은행, 40억원 금융사고 발생 왜
- '880억 부당대출 의혹' 기업은행 전·현직 직원 구속
- [단독] IBK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추가 배상비율 '수용' 결정
- [기자수첩] 은행의 신뢰가 종이짝처럼
- IBK기업은행, 882억원 부당대출 발생···사건 축소·은폐 정황까지
- 하나은행, 상반기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액 은행권 1위
- IBK기업은행,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 최종 선정
- IBK기업은행, 상반기 당기순이익 1조5086억원···전년比 8.2% ↑
- 김성태 기업은행장 "고객 향한 진실된 마음, 위기 속 성장 이끌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