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내부통제 시스템 정교화 필요"
증권사 CEO들 "초대형 IB 확대·가상자산 ETF 허용" 건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증권업계의 불건전 영업에 대한 엄정 대응이 반드시 필요했던 "필연적 과정"이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24개 증권사 최고경영자(CEO), 금융투자협회장과의 간담회에서 "내부통제 실패는 개별 금융회사 문제에 그치지 않고 금융시장 신뢰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해 신뢰를 잃은 금융시장은 성장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업계 일부에서 발생한 불완전판매나 임직원 사익추구 등 불건전 영업행위는 안타까운 부분"이라며 "금융당국의 엄정한 대응은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한 필연적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증권업계에도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는 만큼, 증권업 고유의 업무특성을 반영해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하고, 투자자 보호 강화, 상시점검체계 마련 등 내부통제 시스템을 정교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회사 임원들의 책무를 명확히 규정한 문서로, 금융사고 발생 시 책임을 회피하는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이 원장은 국내 증권사가 자본규모나 수익성 측면에서 글로벌 투자은행(IB)에 비해 열세인 만큼, 인공지능(AI)·빅데이터·블록체인 등 기술 투자를 늘리고,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고도화해 IB업무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증권사 CEO들은 "모험자본 공급을 늘리기 위해 초대형 IB 역할 확대와 발행어음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건의했다. 또한, 해외에서 스테이블 코인 등 새로운 결제 수단이 확산하는 가운데 증권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권사 법인 지급결제 허용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허용도 필요하다는 건의도 있었다.
이달 31일 예정된 공매도 재개 후 투명한 공매도 관리·감독체계 운영을 통해 투자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 '제2 증권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김학수 대표 "혁신적 서비스 제공할 것"
- [주간금융] 이복현 금감원장 '봐주기' 논란···혁신당 '삼성생명법' 당론 채택
- [기자수첩] 참을 수 없는 이복현의 '봐주기'
- 이복현, "과감한 조직문화 쇄신" 강조면서…임종룡엔 '면죄부'
- "이복현 직무유기 혐의 고발" MG손보 노동자들, 메리츠화재 특혜 매각 의혹 제기
- [주간금융] 신한은행 17억원 횡령 발생···교보생명 '풋옵션 분쟁' 일부 해소
- SK하이닉스·카카오 등 43개 종목, 오늘 하루 '공매도 금지'
- 이복현 "상법개정안 거부권 유감···사의 밝혔지만 반려"
- 약속지킨 이복현 금감원장···디스커버리펀드 재분조위 열었다
- [권오철의 시선] 김건희 특검, 새 금감원장을 만나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