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권의 경영진이 연루된 금융사고와 관련해 조직문화의 '과감한 쇄신'을 강조하면서도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에 대해선 '임 회장의 임기는 채워야 한다'는 취지로 말해 주목된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소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에서 "내부통제의 질적 개선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실감하고 있다"면서 "조직문화를 과감히 쇄신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를 구현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그는 "은행권의 내부통제 실패와 함께 이에 따른 대형 금융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다"면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검사를 통해 사고 관련자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날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선 임 회장 거취와 관련 "우리은행 내 현실적으로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 회장이 갑자기 빠지게 되면 거버넌스 관련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임 회장이 (최근 금융사고 사태를) 정리해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임 회장이 임기를 채우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기회 될 때마다 사석에서 많이 밝혀왔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에 따르면 2020년 10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 관련 부당대출은 총 730억원으로 잠정 확인됐으며, 이 중 451억원(약 62%)은 2023년 3월 임 회장 취임 이후 취급된 대출인 것으로 파악됐다. 임 회장에 대한 '책임론'이 나오는 배경이다.

앞서 임 회장은 이번 사태와 관련 "여전히 허점이 있는 내부통제시스템 등이 원인"이라며, "이는 전적으로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을 이끌고 있는 저를 포함한 여기 경영진의 피할 수 없는 책임"이라고 말한 바 있다. 

또 임 회장은 "조사 혹은 수사 결과가 나오면 저와 은행장을 포함한 임직원은 그에 맞는 조치와 절차를 겸허하게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