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수사가 뒤늦게 급물살을 타고 있다. 김 여사 수사를 맡은 민중기 특별검사는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검찰과 금융감독원, 법무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등 기관을 찾아 수사협조를 요청했다. 

서울고검은 지난달 미래에셋증권을 압수수색, 김 여사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을 인식한 듯한 정황이 담긴 육성파일 수백개를 확보했다는 소식도 알려졌다. 이는 김 여사와 해당 증권사 직원 간 통화 녹음인데, 서울중앙지검이 수사를 맡은 2020년 4월부터 지난해 10월 김 여사에 대한 무혐의 처분까지 4년여간 드러나지 않았던 증거다.   

"주식 거래 시 증권사 직원에게 직접 전화를 했다"는 취지의 김 여사의 진술에도 불구하고 관련 통화 녹음을 확보하지 않았던 서울중앙지검의 부실수사가 논란이지만, 당시 금감원은 뭘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여의도 저승사자'로 불리던 이복현 전 금감원장은 2022년 6월 취임해 무혐의 처분까지 2년여 동안 뭘 했나. 검찰은 상대적으로 협소한 수사 범위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받아야 비로소 기관을 들여다 볼 수 있지만, 금감원은 영장 없이도 보다 포괄적인 범위로 기관에 대한 검사를 할 수 있다. 마음만 먹었더라면 검찰이 하지 않았던 증거 확보를 능히 할 수 있었던 이 전 원장이다.  

하지만 이 전 원장은 그러지 않았다. 더 나아가 그는 2023년 정무위원회에서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혐의에 대해 "한 톨의 증거도 없다고 확신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후 지난해 김 여사에 대한 검찰의 무혐의 처분 직후 열린 정무위 국정감사에선 "구체적인 내용을 잘 모르고 답변할 위치인지 고민이 필요하다"며 뒷짐을 졌다. 이 같은 태도는 증권사 통화 녹음 확보에 손을 뻗지 않았던 서울중앙지검과 닮아 있다. 

이제 이 전 원장은 자연인으로 돌아갔지만, 그가 앉히고 또 승진시켰던 금감원 임직원들은 아직 그 자리에 있다. 그들이 이제라도 김 여사 특검의 수사협조 요청에 응해야 할 텐데, 그럴 수 있을까.    

그걸 기대하느니 깔끔하게 새 판을 짜는 게 현명해 보인다. 특검에 적극 협조할 금감원을 다시 꾸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새 금감원장을 하루 빨리 세워야 한다. 그간 타락한 권력에 의해 숨겨져 왔던 진실이 눈앞에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