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 2조5882억원, 영업이익 9623억원을 기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844억원, 영업이익은 3065억원이 각각 증가했다.
연결 기준 2분기 매출은 1조2899억원, 영업이익 4756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330억원, 411억원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공정공시를 통해 올해 연결 기준 연간 매출 성장 전망치를 직전 20~25%에서 25~30%로 상향 조정했다. 1~3공장 운영 효율 개선과 4공장 램프업(Ramp-up, 가동 확대) 등에 따른 영향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을 제외한 별도기준으로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견조한 사업 기반과 글로벌 고객사들의 지속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창립 이래 최초로 별도 기준 상반기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상반기 별도 기준 매출액은 2조138억원, 영업이익은 907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341억원, 3451억원 증가한 수치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1조142억원, 영업이익은 4770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040억원, 1478억원 증가했다. 이는 1~3공장과 2022년 10월 부분 가동을 실시했던 4공장 6만L 규모 설비의 안정적인 풀가동 및 4공장 18만L 규모 설비의 조기 램프업 영향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상반기 미국서 신규 제품 2종을 출시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매출액 8016억원, 영업이익 2178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2분기 매출은 4010억원, 영업이익은 898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89억원, 1673억원 감소했다. 이는 지난 해 2분기 2205억원의 마일스톤(연구개발 성과에 대한 대가) 수익 인식에 따른 것이다. 마일스톤을 제외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하며 순수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한 실적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 2분기말 연결 기준 자산 17조7736억원, 자본 11조6028억원, 부채 6조1709억원을 기록했다. 재무상태도 부채비율 53.2%, 차입금 비율 11.6% 로 안정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종근당바이오, 차세대 보톡스 ‘티엠버스주’ 출시
- 셀트리온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 결정
- 삼성바이오에피스, 인적 분할 후 독자 R&D기업 도약
- LG화학·롯데케미칼 등 리사이클·바이오 소재 투자 본격화
- 셀트리온 "앱토즈마 임상 3상 52주 결과 유효성·안전성 확보"
- LG CNS, 2분기 매출 1조4602억원···AI·클라우드로 성장 지속
- SK하이닉스, HBM 기술력으로 영업익 9조원 돌파···최대 실적 경신
- 동아쏘시오홀딩스, 2분기 영업익 28.8% ↑··· 에스티젠바이오 ‘깜짝 성장’
- 삼성SDS, 2분기 매출 3조5120억원···클라우드·디지털 물류 성장세 지속
- LG디스플레이, 2분기 영업손실 1160억···"OLED 중심 하반기 반등 기대"
-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글로벌 CDMO 리더 도약 본격화”
- 셀트리온, ‘앱토즈마’ 정맥주사 제형 美서 CRS 적응증 허가 추가 승인
- 셀트리온 호실적에 기여한 '바이오시밀러' 어떤 것들이 있을까?
- 동아ST,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 美 출시
- 삼성바이오로직스, 사내 보안문화 고도화 박차
-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홀딩스, 분할기일11월 1일로 정정
- 글로벌 CDMO 리더십 확보를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 거침없이 '질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