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인덱스 분석···주가 상승·증여·비상장사 밸류업 영향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올해 상반기 국내 50대 그룹 오너 일가의 자산가치가 33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일 기업분석 전문기관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계열사 지분을 보유한 50대 그룹 오너 일가 623명의 총자산은 올해 초 대비 32조9391억원 증가한 144조485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상장사와 비상장사를 모두 포함했으며, 상장사는 1월 2일과 8월 29일 종가를 기준으로, 비상장사는 결산자료와 반기보고서를 토대로 순자산가치를 산출했다.
자산 증가 폭이 가장 컸던 인물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으로, 상반기에만 4조7167억원 늘어 총 16조626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삼성물산 주가가 연초 대비 48% 넘게 뛰면서 이 회장이 보유한 19.9% 지분가치가 1조8465억원 증가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삼성가 일가 전체 자산도 크게 불어났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1조9444억원↑),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1조6982억원↑),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1조5865억원↑) 등 삼성 일가의 자산 증가분은 총 10조446억원에 달했다.
개인 자산 증가 2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으로, 지분 증여와 형제 간 지분 맞교환 등의 영향으로 1조9873억원이 늘어 2조9964억원을 기록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대글로비스 무상증자와 현대오토에버·현대차 주가 상승 효과로 1조8348억원 증가했다.
반면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은 보유 지분 평가액이 25.2%(약 8301억원) 떨어지며 자산이 3조2980억원에서 2조4680억원으로 감소했다. 넥슨 창업자 고(故) 김정주 회장의 배우자인 유정현 NXC 의장 역시 지분 일부 매각과 순자산가치 하락으로 2000억원 이상 줄었다.
리더스인덱스는 “삼성 일가의 계열사 지분 가치 상승이 전체 증가분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자산 확대를 견인했다”며 “지분 증여와 비상장사 가치 상승도 주요 그룹 총수 일가 자산 증가의 배경이 됐다”고 분석했다.
- 삼성 이재용, 빌 게이츠와 오찬 회동···글로벌 사회공헌 협력 강화
- 대한민국 재계, 연봉으로 보는 권력 지도
- 판결 후 삼성 이재용의 첫 행보, '관세전쟁' 돌파구 될까
- 넥슨컴퍼니, 채용형 인턴십 ‘넥토리얼’ 모집··· 5년 연속 세 자릿수 규모 채용 예정
- 태어나자마자 재산 1억 받는 '금수저' 늘고 있어
- 국내 500대 기업 여성 임원 첫 8% 돌파
- 넥슨, ‘엘소드’에 ‘아일릿 빌려온 고양이' 아바타·모션 더해
- 이재용 회장 주식 18조원돌파...李 집권 100일만에 30%↑
-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 이지호씨, 해군 장교 군생활 시작
- 프랜차이즈 본사 vs 가맹점, 성장 불균형 심화
- 이재용의 PSU 올인 전략···임직원과 한배 탄 삼성의 승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