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정부의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유지 결정과 ‘밸류업’ 정책에 따른 주주환원 기대가 맞물리면서 금융지주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자 장사 비판과 상생 금융 확대 부담에도 불구하고 주요 금융지주 주가는 지난 7월 전고점에 근접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 주가는 이달들어 전날까지 평균 7.67%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7.14%)을 웃도는 수준이다.
하나금융(9.49%)과 KB금융(9.33%)은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9%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신한금융(6.74%)과 우리금융(5.65%)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우리금융은 지난 16일 장중 2만6950원까지 오르며 7월 기록한 연고점(2만7100원)에 근접했다.
이번 상승에는 정부가 양도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으로 유지하기로 한 결정이 핵심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증권은 “대주주 기준 완화가 은행에 직접적 영향은 없지만, 정부의 증시 가치 제고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금융지주들이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율을 높이겠다고 나선 것도 주가 상승 동력으로 꼽힌다.
BNK투자증권은 국내 은행 총주주환원율이 2023년 평균 32.7%에서 2024년 35.9%, 2025년 41.7%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4대 금융지주 주가는 평균 52.76% 뛰며 코스피 상승률(45.9%)을 웃돌았다.
다만, 금융지주 주가에는 여전히 부담 요인이 존재한다. 기획재정부가 지난 7월 세제개편안에서 대주주 요건을 10억원으로 낮추겠다고 밝히면서 당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바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과징금 부과 가능성, 세 부담 증가, 상생 금융 요구, 대출 규제 등도 주가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0일 “고신용자에게는 저리로 장기 대출을 해주면서, 저신용자에게는 고금리 단기 대출을 강요하는 금융이 가장 잔인한 영역”이라며 은행권 이자 장사를 비판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상상인증권은 “실적보다 주주환원 모멘텀이 주가를 이끌고 있지만, 조단위 과징금이 현실화될 경우 모멘텀 약화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하나증권 역시 “홍콩 주가연계증권(ELS)·주택담보대출비율(LTV) 담합 과징금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추가 상승 기대치는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 [주간금융] 코스피 역대 최고치···금감원 "공공기관 지정 철회" 시위
- [초점] 8개 금융지주 상반기 엇갈린 희비···순이익 '착시효과' 걷어내 보니
- 우리금융, 하반기 전략 발표···"AI 전환 강력 추진"
- 신한투자증권 '내자녀 금전증여신탁', 앱 가입 서비스 개시
- 농협중앙회 홍보실 봉사단, 국가유공자 방문···"위문품 전달 및 말벗 봉사"
- [기자수첩] 국경 뒤에 숨은 금융사고···은행법 손봐야
- 하나은행, '지수플러스 정기예금' 출시
- [주간금융]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유출···금감원 대규모 시위
- KB국민카드, 친환경차 고객 대상 '볼트업 KB EV카드' 출시
- KB금융그룹배 여자아마추어 골프선수권대회, 24일 개막
- 최초 비과세배당 앞둔 우리금융···배당수익률 ↑, 여전한 저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