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BK기업은행이 26일 서울 중구 본점에서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전날 발표된 금융감독원 부당대출 감사 결과에 대해 대국민 사과와 향후 쇄신 계획을 발표했다. 금감원은 기업은행에서 882억원 규모의 부당대출 등 금융사고가 벌어졌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모든 임원과 함께 지역본부장, 여신심사센터장, 내부통제 부서장 등 기업은행의 주요 간부들이 참석했다.
김성태 기업은행장은 "이번 일로 IBK에 실망했을 고객과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행장은 금융감독원의 감사 결과를 반성의 기회로 삼아 후속조치와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기업은행은 내부통제와 업무 프로세스의 빈틈, 시스템의 취약점, 부당한 지시 등 불합리한 조직문화가 원인이라고 판단하고 강도 높은 쇄신을 단행하기로 했다.
사건에 연루된 직원을 강력하게 징계하고 임직원 친인척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친인척을 통한 이해상충을 차단할 계획이다. 대출이 이뤄질 때마다 담당직원과 심사역으로부터 '부당대출 방지 확인서'를 받아 이해상충을 방지하고 '승인여신 점검 조직'을 신설해 영업과 심사업무의 분리 원칙이 지켜지도록 할 방침이다.
부당지시자를 강력히 징계하고 이를 따른 직원까지 처벌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외부에 위치한 독립적인 내부자신고 채널 신설, 내부고발자에 대한 불이익 차단, 자진신고자 면책 조치 등도 추진한다.
부당 행위를 점검하는 검사 체계도 쇄신 대상이다. 감사 프로세스 점검과 비위행위 등에 대한 검사부 내부 고발을 담당할 외부 전문가를 영입하고,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감사자문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경영진의 일탈과 내부통제 미흡에 대해서는 직무해임 등 중징계를 내린다.
김 행장은 "아무리 좋은 제도와 시스템이 있어도, 스스로 변화하고 실천하지 않으면 쇄신에 성공하기 어렵다"며 "IBK 임직원 모두가 '곪은 곳을 송두리째 도려내어 새롭게 거듭난다'는 환부작신(換腐作新)의 자세로 업무에 임해 주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 IBK기업은행, 882억원 부당대출 발생···사건 축소·은폐 정황까지
- 檢, '240억 부당대출' IBK기업은행 직원·차주 압수수색
- "중소기업 위기극복 앞장" IBK기업은행, 1~2월 중기대출 3조6000억원 순증
- '지속가능성평가 최고등급' 받은 IBK기업은행···CDP '리더십 A' 등급
- "중식대 150억원 환급 거부 말라"···IBK기업은행 노조, 국세청 규탄
- IBK기업은행, 지난해 순이익 2.6조원···중기 대출 '역대 최대'
- [기자수첩] 은행의 신뢰가 종이짝처럼
- [주간금융] 기은 882억, 농협 1083억 부당대출···키움 엄주성 "토스증권 커뮤니티 리딩방 같아"
- 한국소호은행 "차별화된 신용평가···소상공인 금융 자신 있어"
- 금융권, 해외 부동산 투자 부실 2.6조원 규모···전체 7.7%
- '부당대출 그 후' IBK기업은행, 쇄신 과정에 경영진 동참한다
- IBK기업은행, 공공기관 만족도 조사 '최고등급'
- IBK기업은행, 외국인 통장·카드 'IBK BUDDY' 출시
- "또 부당대출"···IBK기업은행, 40억원 금융사고 발생 왜
- 기업은행 50억 부당대출 뒤늦게 수면 위로···"지난해 종결, 상환 완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