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전문은행 3사(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의 올해 1분기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취급 비중이 모두 30%를 넘기며 금융당국이 제시한 목표를 초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급 비중(3개월 평균 잔액 기준)은 케이뱅크가 가장 높았고, 신규취급액 기준으로는 카카오뱅크가 가장 높았다. 다만, 케이뱅크는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비중 목표(30%)를 달성하지 못했다.
23일 각사 1분기 실적발표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취급 비중은 35.0%로, 전분기(35.3%)에 이어 두 분기 연속 35% 이상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세 분기 연속으로 인뱅 3사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토스뱅크의 비중은 34.3%(3개월 평균 잔액 기준)이었다. 토스뱅크는 "제1금융권 은행 중 가장 나중에 출범한 신생 은행이자 아직 주택담보대출 등 담보대출이 없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포용금융을 이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뱅크의 비중은 32.8%였다. 카카오뱅크는 1분기 6000억원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을 공급했다.
신규취급액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으로는 ▲카카오뱅크 33.7% ▲토스뱅크 30.4% ▲케이뱅크 26.3% 순이었다. 케이뱅크는 올해 2월부터 금융당국이 설정한 '신규취급액 30% 이상'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케이뱅크는 이와 관련 "평균 잔액은 조기에 공급할수록 반영률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으며,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았던 2·3월의 반영률이 1월보다 낮은 것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범 이후 누적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카카오뱅크 13조원 ▲ 토스뱅크 9조원 ▲케이뱅크 7조4000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2023년 12월 금융당국은 인터넷전문은행의 2024~2026년 중·저신용자 대출공급 목표를 '평균 잔액 30% 이상'으로 설정했다. 또한 금융위원회는 올해 2월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에 '신규취급액 30% 이상' 기준을 추가하며 목표를 강화했다.

- 5년 반 동안 금융권 전산장애 1700건 넘어···피해액 300억원
- [주간금융] 금융권 이재명 지지 선언···롯데손보 결국 콜옵션 철회
- 케이뱅크, 1분기 순이익 161억원···전년比 고객수 32% ↑
- 은행권 정기예금, 실질금리 0%대···1년여간 1200만 계좌 사라져
- 카카오뱅크, 1분기 순이익 1374억원···역대 최대
- 토스뱅크, 지난해 순익 457억원···연간 첫 흑자
- [주간금융] 이재명·이준석 'K-스테이블코인' 설전···농협은행 2500만원 횡령 발생
- KB국민은행, 아시안뱅커 선정 11년 연속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
- '또 다시 혁신' 카카오뱅크, 금융권 최초 '대화형 AI 검색' 서비스
- 카카오뱅크,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최대한도 3억원까지 확대
- 토스, '앱인토스' 파트너사 모집···"스타트업에 앱 개방"
- 토스뱅크, 4대보험료 납부 기능 도입
- "IPO 삼수, 칼 갈았다"···케이뱅크, 삼성·NH투자증권 맞손
- 카카오뱅크, 태국 가상은행 진출한다···25년 만의 한국계 은행 쾌거
- 카카오뱅크, NICE평가정보 맞손···70여개 금융사에 '대안신용평가스코어' 개방
- 케이뱅크-부산은행 공동대출, 혁신금융서비스 지정···하반기 출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