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우리은행 사옥. /사진=김준하 기자
서울 중구 우리금융그룹 사옥. /사진=김준하 기자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우리금융지주가 배당을 선호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업계 최고 수준의 배당수익률과 배당성향을 기록했으며, 지난 3월 비과세 배당 재원을 활용한 '감액 배당' 정책까지 도입하며 배당에 최적화된 주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게다가 우리금융은 4대 금융지주사들 중 가장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수익비율(PER)을 기록하며 저평가된 주식으로 분류돼 매력을 더하고 있다. 

배당수익률, 배당성향 모두 최고 수준

우리금융지주 주식의 배당수익률은 업계 최고 수준이다. 3일 각 사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계 금융지주사들 중 가장 높은 현금배당수익률을 기록한 곳은 우리금융(6.9%)이었다. 최근 3년 평균(7.5%)으로도 우리금융이 가장 높았다. 올 1분기에는 하나금융(1.5%)이, 최근 5년 평균 기준으로는 JB금융지주가 가장 높았다.

배당수익률은 '주당배당금(DPS)÷주가'로 계산되며, 주가 대비 배당금 수준을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다.

배당성향도 우리금융이 가장 높았다. 우리은행의 배당성향은 올해 1분기 23.9%, 지난해 전체 기준 28.9%로 은행계 금융지주사 중 최고 수치였다.

배당성향은 '총 배당금 ÷ 당기순이익'으로 계산되며,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중 얼마를 배당금으로 지급했는지를 나타내는 분배 지표다. 배당성향은 주가와 무관한 만큼, 배당에 대한 회사의 의지가 반영된다.

국내 은행계 금융지주사 기간별 배당 지표. 붉은색은 최고 수치 표시. /자료=각 사 사업보고서. 표=김준하 기자
국내 은행계 금융지주사 기간별 배당 지표. 붉은색은 최고 수치 표시. /자료=각 사 사업보고서. 표=김준하 기자

우리금융의 높은 배당수익률은 우리금융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점과 맞물려 있다. 배당수익률 계산에서 분모가 주가이며, 주가가 낮을수록 배당수익률은 오르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의 1분기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49배, 주가수익비율(PER)은 5.33배로, BNK금융지주 다음으로 가장 낮았다. PBR은 회사의 순자산 대비 주가 수준을, PER은 이익 1원당 주가 수준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들 수치가 높을수록 고평가된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 은행계 금융지주사 밸류에이션 지표. /자료=각 사, 에프엔가이드. 표=김준하 기자
국내 은행계 금융지주사 밸류에이션 지표. /자료=각 사, 에프엔가이드. 표=김준하 기자

과감한 3조원 감액 배당, 낮은 CET1·총주주환원율 만회

우리금융은 지난 3월 제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자본준비금 감소의 건', 이른바 '감액 배당'을 의결했다. 찬성률은 99.64%였다. 이 안건은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자본준비금 중 약 3조원을 이익잉여금으로 이입해 비과세 배당 재원으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이는 4대 금융지주 중 최초로 시행된 감액 배당 정책이었다.

감액 배당으로 인해 개인투자자들은 15.4%의 배당소득세를 내지 않고 배당금을 전액 수령할 수 있다. 실질 배당수익은 18.2% 상승한다.

이 같은 조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보통주자본비율과 총주주환원율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었다. 우리금융의 1분기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2.42%로, 4대 금융지주(KB 13.67%, 신한 13.27%, 하나 13.24%) 중 가장 낮았다. 자사주 매입을 통한 주주환원에는 불리한 조건이었으나, 감액 배당을 통해 새로운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총주주환원율도 33.3%로 4대 지주 중 가장 낮았지만(KB 39.8%, 신한 39.6%, 하나 37.8%), 감액배당 도입으로 주주들의 체감 환원율을 높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감액 배당은 매년 쌓이는 이익잉여금이 아닌, 일종의 '비상금'인 자본준비금에서 비롯된 정책인 만큼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한 회계사는 "이익잉여금을 통한 배당은 기업의 영업 성과를 주주와 공유하는 활동이지만, 자본준비금을 배당 재원으로 활용하는 건 잉여금을 꺼내 쓰는 것"이라며 "일시적인 주주환원책은 될 수 있어도 지속 가능한 이익 배분 정책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