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금융권에서 최근 6년여간 해킹사고가 27건 발생해 5만1004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이 중 70%가 넘는 사례에서 배후 국가조차 특정하지 못했다.
25일 국민의힘 소속 강민국 의원실은 금융당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해킹 피해는 올해 들어 더욱 늘어났다. 올해에는 ▲아이엠뱅크(2월 8일) ▲노무라금융투자(5월 16일) ▲KB라이프생명보험(5월 16일, 유출 2673건)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5월 18일, 유출 469건) 등 총 4건, 3142건의 정보유출이 발생했다.
해킹 피해가 가장 많이 벌어진 업권은 은행으로, 2020년부터 총 12건(44.4%)이 벌어졌다. 이어 ▲증권(6건) ▲저축은행·손해보험(각 3건) ▲카드(2건) ▲생명보험(1건) 순이다.
같은 기간 정보유출 규모는 저축은행이 3만6974명(72.5%)으로 가장 컸고, ▲증권업권 1만883명 ▲카드업권 3426명 ▲생명보험업권 2673명 ▲은행업권 474명 등이었다. 손해보험업권에서는 유출 사례가 없었다.
해킹 수법은 '서비스 거부 공격(Dos,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이 11건(40.7%)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보안취약점 해킹 7건 ▲악성코드 5건 ▲무단접속·조작 1건 등이 있었다. 특히 악성코드를 이용한 해킹이 전체 유출 건수의 절반 이상인 2만9805건(58.4%)을 차지했다.
문제는 해킹의 배후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전체 27건 중 19건(70.4%)에서 배후를 확인하지 못했고, 3건은 아직 확인 중이다. 배후가 특정된 5건 중 러시아가 2건, 중국·미국·다국적 공격이 각각 1건씩 있었다.
정보유출로 피해를 입은 고객에게 배상한 규모는 총 148명, 금액으로는 1억9526만원이었다. 배상은 대부분 카드사(73명)와 저축은행(72명)에서 이뤄졌다. 2021년 신한카드에서 지급한 배상금 1억7739만원은 전체 배상금의 90.8%를 차지했다.
강민국 의원은 "해킹 침해사고 발생 시, 정보유출 등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뿐만 아니라 공격자가 다양한 우회경로 및 은폐기법을 사용하기에 실제 위치 및 배후국가를 식별하는 것이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금융회사가 운영 중인 직원 원격근무, 모바일 오피스 등 내부 업무용 장비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침해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며 "금융 당국은 금융사 보안위협 대응수준을 상시감시하기 위한 통합관제체계를 조속히 구축하고, 주기적으로 금융회사 대상 IT상시협의체 및 간담회를 실시하는 등 상시감시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지난 2일 '삼성페이 장애' 원인에 "SDS 데이터센터 방화벽 오류" 지목
- '해킹' 예스24 "당국 협력" 입장문에 KISA는 "사실무근" 반박
- 예스24 '랜섬웨어 해킹' 나흘째 먹통···"일요일 복구 완료 예상"
- SK텔레콤 해킹으로 이통 3사 보안 무엇이 바뀌었나?
- 美서 기소된 중국 해커 대화 보니···"中 공안이 韓 통신사 자료 요청"
- KB라이프, 서버 해킹 발생···임직원 정보 유출 의심돼
- GA 해킹 개인정보 1100건 유출···스미싱 주의·비밀번호 변경해야
- "부당서류 징구" SC제일은행, 130억원 부당대출 발생
- 카카오뱅크 '달러박스' 출시 후 1년···누적 이용자 수 107만명
- 금융위,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경영개선요구'···유니온은 조치 유예
- 1300억원 손실 숨긴 신한투자증권 직원 2명, 징역 3년
- LG유플러스, 1호 프로파일러 권일용 교수 보안 앰버서더로 선정
- [주간금융] 11억 은행 횡령범, 18년 만에 잡혔지만···SC제일은행에선 130억 부당대출 발생
- 우리은행, 조직개편 단행···"고객중심 조직 구축"
- [금요일 오후공시] KB국민은행, 20억원 금융사고···외부인 사기
- 신한금융 후원 골퍼 임진희, LPGA 투어 다우 챔피언십 첫 우승
- 카카오뱅크, 해외송금 수수료 4900원으로 인하
- BNK경남은행, 고객확인 의무 위반 적발···과태료 2160만원
- 신한라이프, 고액 현금거래 보고 지연···과태료 90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