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부인의 사기로 인한 은행권 금융사고가 올해 543억원을 넘어섰다.
7일 각 은행 공시에 따르면 올해 18개 은행에서 외부인 사기에 따른 금융사고 금액은 543억6510만원에 달했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은 하나은행이다. 하나은행은 지난 4월과 5월 외부인 사기 관련 금융사고를 4건(413억7441만원) 공시했다. 손실 추정금액은 61억4261만원이다. 이 사고들은 모두 대출 신청 시 제출된 허위서류 때문에 벌어졌다.
2월 발생한 '세종시 전세사기' 관련 금융사고 금액은 95억649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사건에서는 ▲KB국민은행 22억2140만원 ▲IBK기업은행 22억1900만원 ▲신한은행 19억9800만원 ▲NH농협은행 16억5762만원 ▲SC제일은행 14억6790만원 등 금융사고 피해가 발생했다. 대체로 세입자 명의를 도용해 대출을 받는 방식이 악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KB국민은행 20억7450만원, BNK부산은행 13억5227만원 등이 외부인 사기 피해를 공시했다.
한편, 은행 공시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 6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에서 내부 직원으로 인한 금융사고 금액은 약 4871억원이다.

키워드
#하나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제일은행
#아이엠뱅크
#전북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경남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수협은행
#산업은행
#금융사고
#사기
#불법대출
관련기사
- 가계대출 문턱 더욱 높아진다···이달 3단계 스트레스DSR 윤곽
- 정부, 올해 '한은 마통' 누적대출 71조···1분기 이자만 445억원
- 은행 예대금리차 8개월째 확대···서민 부담 가중
- 6년여간 금융사고 1조원 육박···금융당국 '속수무책'
- [이달의 역대 금융이슈] 장영자부터 권도형까지
- [주간금융] '라임사태' 이종필, 과징금 소송 패소···우리금융, 동양·ABL생명 인수 확정
- 전북은행, 3월 가계예대차 7.17%p···24개월 연속 1위
- 한국 외환보유액 50억달러 감소 왜
- 소상공인 50만원 지원···정부, 3개월간 추경 70% 집행 계획
- [주간금융] 새마을금고 1716억원 부당대출···롯데손보, 금감원 무시하고 후순위채 상환
- 하나은행, 금융권 최초 '비대면 AI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서비스 시행
- [금요일 오후공시] "또 금융사고" KB국민은행, 46억원 규모 배임 발생···1년여간 총 554억원
- KB국민은행, 개인사업자 대상 'KB사장님+적금' 출시···연 최대 6% 금리
- IBK기업은행, 중소기업 맞춤형 'ESG 정밀진단 시스템' 출시
- 하나은행,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3개 부문 연간수익률 은행권 1위
- 우리은행, 생성형 AI 기반 운영리스크 상담 시스템 '운영GPT' 도입
- KB미소금융재단, 미소금융 실적평가 '최우수 기관' 선정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취약계층 어르신 직접 만나··· 생필품 세트 전달
- KB국민은행, 원금보장형 'KB Star 지수연동예금' 출시
- IBK기업은행, '글로벌 최우수 중기대출 디지털 솔루션상' 수상
- [단독] 신한은행, 라임자산운용 상대 손배소송서 '일부 승소'
- [금요일 오후공시] KB국민은행, 고객확인자료 보존 의무 위반···자금세탁 관련 업무 미흡
- [김준하의 시선] 10억 금융사고, 왜 카드사는 공시 면책받나
- "인뱅 너마저"···토스뱅크, 20억원 규모 횡령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