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금융당국이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를 위반한 증권사들에 대해 제재를 내린 가운데, 유안타증권이 중징계인 ‘기관경고’ 조치를 받았다. 유안타증권은 증권 발행인으로서 파생결합증권(DLS)에 대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았고, 주선인으로서도 펀드 32종을 통해 1200억원이 넘는 금액을 발행인의 증권신고 없이 모집했다.
금융감독원은 16일 유안타증권, IBK투자증권, 하나증권, 신영증권, 현대차증권의 자본시장법 위반에 대해 제재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특히 유안타증권에 대해서는 '기관경고' 조치가 내려졌다. 기관경고는 금융회사의 신규사업 진출을 1년간 제한하는 중징계다. 전·현직 임직원 4명도 제재 대상이 됐다. 퇴직자 1명에게 '주의 상당' 조치가, 3명에게는 '조치 생략'이 적용됐다. '조치 생략'은 적발된 위반 사항이 기존의 제재 사유에 포함돼 있다고 판단해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다.
금감원은 유안타증권이 DLS(파생결합증권)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채 97명으로부터 42억원을 모집한 사실을 적발했다.
또한 유안타증권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증권 주선인으로서 총 864명에게 1275억원 규모의 펀드 청약을 권유하면서도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채 판매를 진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증권의 발행인은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새로 발행되는 증권 청약을 권유할 때 규모가 10억원 이상인 경우, 증권신고서가 금융위원회로부터 수리되지 않으면 모집할 수 없다. 같은 조건에서 주선인 역시 발행인의 증권신고서가 수리되지 않으면 모집할 수 없다.
이날 증권 주선인으로서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를 위반한 다른 증권사들에게는 각각 1명에게 '조치 생략' 결정이 내려졌다. 위반에 관한 펀드 판매액은 ▲IBK투자증권 318억원 ▲하나증권 240억원 ▲신영증권 157억원 ▲현대차증권 85억원 등이다.
- '집사 게이트' 의혹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21일 특검 출석
- [금요일 오후공시] 하나증권 직원, 배우자 명의 주식거래 덜미···과태료 100만원
- [주간금융] 코스피 3200, 비트코인 신고가···기준금리 2.5% 동결
- [이달의 역대 금융이슈] 브레튼우즈 체제 출범부터 '라임 사태' 첫 보도까지
- [단독] '라임펀드 사태' 책임, 증권사 경영진에 묻는다···주주대표소송 개시
- 1300억원 손실 숨긴 신한투자증권 직원 2명, 징역 3년
- 증권사들, '성과보수 지급 규정 미준수' 덜미···무더기 제재
- KB국민은행, 삼성화재 맞손···외국인 고객 금융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 신한은행, 모바일 앱에 '가상자산 전용페이지' 출시
- 합병 후 70% 급등···금융당국, 시세차익 챙긴 메리츠 임원들 검찰 고발
- 신한라이프, 보험료 과다수령·보험금 누락 등 덜미···기관주의ㆍ1억3800만원 철퇴
- 토스, 충당금 과소적립으로 1200만원 과태료···"감독규정 적용시점 착오"
- [주간금융] '집사게이트' 180억원 투자 기업들 "정상적 투자"···'부당차익' 메리츠 임원들 피고발
- 우리금융, 하반기 전략 발표···"AI 전환 강력 추진"
- 신한은행-서울신보, '서울배달+땡겨요' 200억원 보증 지원
- KB국민은행-기보, 중소·벤처기업에 1467억원 지원
- ['연못 속 고래' 4대 금융 ①] 역대급 실적에도 해외 비중은 10%대···포화시장·인구절벽에 갇혔다
- Sh수협은행, 8년전 대출사기 뒤늦게 수면 위로···"고의적 은폐ㆍ늑장보고 절대 아냐"
- ['연못 속 고래' 4대 금융 ②] 150년 앞선 美, 실패 딛고 세계로 日, IMF 트라우마 갇힌 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