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진의 재미있는 K-LCC 이야기]  (2) K-LCC는 저가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사이에서 사회적 혼란이 존재한다

김효정 기자 2022-10-31 11:21:26
양성진 '세상을 바꾼 K-LCC' 저자


LCC는 Low Cost Carrier를 말한다. 즉, 전 세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LCC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항공사들을 통칭해서 가리키는 항공사 분류방식이다. 또한 LCC와 대별(大別)되는 개념인 FSC(Full Service Carrier)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기존항공사의 이노베이션(innovation) 개념이다.

통용되고 있는 LCC 비즈니스 모델은 대체로 △모노클래스(Mono class, 단일등급 좌석) △항공기 기종 단일화 △단일구조 요금체계 △선착순 탑승 △단거리 운항 △턴어라운드타임(Turnaround time) 최소화 및 이를 통한 항공기 가동시간(utilization hr.) 극대화 △간접판매를 지양하는 직접판매 방식의 항공권 판매 △직원들의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내식 및 음료 등의 유상판매 △비용이 드는 광고를 지양하고 구전홍보, 게릴라마케팅 등의 언론뉴스를 통한 홍보방식 등 10가지 특성으로 운영되는 항공사를 말한다.

따라서 LCC는 FSC 방식의 기존항공사와는 뚜렷하게 ‘다르게 운영되는’ 항공사이다. 때문에 그동안 기존항공사 체제하의 항공시장에서 FSC 방식과 뚜렷하게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해서 운영되는 항공사를 통칭해서 LCC로 분류하기도 한다. 즉, FSC 방식의 기존항공사와 ‘다른 꼴’을 하고 생겨난 거의 모든 항공사를 지칭한다.
글로벌 항공컨설팅업체 CAPA의 2002년 보고서에서도 LCC를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없고 지역이나 시장에 따라 구조와 목적을 달리하는 카멜레온과 같은 항공사‘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LCC보다 더 작은 ‘소형항공사’와 특정지역에서만 운항하는 ‘지역항공사’를 큰 틀 안에서 광의(廣義)의 LCC로 분류하기도 한다.

LCC는 미국에서 태동해서 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유럽에서 비슷한 과정을 거쳐 설립되면서 성공신화가 이어져, 나중에는 호주와 동남아시아로 번져 나갔다. 대륙별 대표적인 해외 LCC는 미국의 사우스웨스트항공(Southwest Airlines), 유럽의 라이언에어(Ryanair)와 이지젯(Easy Jet), 말레이시아의 에어아시아(Air Asia) 등이 있다.
각 대륙을 대표하는 LCC. 사우스웨스트항공, 라이언에어, 에어아시아, 제주항공

이들 전 세계 LCC의 비즈니스 모델은 매우 유사하다. 그런데 모노클래스, 기종 단일화 등 LCC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 10대 특징 가운데 이상한 점이 있다. LCC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자 기존항공사 대비 비교적 큰 차별화 포인트라고 이해되는 ‘저가(低價)’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LCC를 말할 때 가장 흔히 통용되는 명칭이 ‘저가항공사’이다. 우리나라는 LCC 비즈니스 모델 주요 10대 특징보다 더 큰 LCC의 차별점으로 ‘저가격’ 혹은 ‘저운임’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LCC를 ‘저가항공사’로 해석해서 그 명칭으로 쓰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 LCC들이 풀네임(full name) Low Cost Carrier를 우리말로 그대로 직역(直譯)해서 ‘저비용항공사’라는 명칭을 대체용어로 사용하기 시작하자 이후 일부 공식적인 문서에서는 ‘저가항공사’ 대신 ‘저비용항공사’라는 명칭으로 바꿔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러자 이번에는 ‘저비용항공사’와 ‘저가항공사’를 동의어로 보는 경우가 발생했다.

사실 LCC의 비즈니스 모델은 ‘저가’가 아니다. 전 세계 어떤 LCC도 ‘저가’(저가격, 저운임)나 ‘Low Price’를 비즈니스 모델로 삼는 곳은 없다. 따라서 LCC를 저가항공사로 해석해야 할 어떠한 명분도 사실상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LCC의 가장 보편적인 명칭으로 ‘저가항공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저가항공사라는 표현은 LCC의 비즈니스 모델 보다는 항공운임의 가격적인 면만 보는 일방적인 관점이다.

LCC는 ‘항공운임의 저가격’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저렴한 항공운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낮은 비용구조를 만들어 낸 항공사’를 가리킨다. 선후가 제대로 바뀐 셈이다. 원문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 LCC는 ‘Low Price Carrier’가 아닌 ‘Low Cost Carrier’일 따름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이 같은 LCC 나름의 사정과 논리는 애써 모른 체하고 그저 ‘저가항공사’가 친숙한 명칭이다. 그 다음으로는 ‘Low Cost Carrier’를 글자 그대로 직역(直譯)하여 ‘저비용항공사’로 부르는 것이 LCC를 배려한 명칭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우리 사회는 LCC 당사자가 아닌 타인들이 LCC에 대해 자의적으로 이름을 붙인 데에 따른 사회적 혼란이 존재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LCC들은 저가의 운임을 받는 항공사, 즉 단순히 저가를 업태나 업종으로 분류하는 것을 거부한다. LCC의 비즈니스 모델은 LCC가 등장하기 전에 승객들에게 풀서비스(full service)로 운영되던 기존항공사와 맞서기 위해 항공사의 운영방법과 운영체계 등 많은 것을 쇄신한 혁신(innovation)이었다. 즉 LCC는 기존항공사의 이노베이션이다.

이 같은 이노베이션을 통해 기존항공사와 경쟁하기 위한 차별화의 주요 방법으로 일정 수준의 저가를 결과물로 구현해 낸 것이 LCC의 본질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저가’는 LCC들이 구현해낸 산출물이지 비즈니스 모델은 아니다.

그리고 LCC가 태동한 미국과 LCC가 발전한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기본적으로 ‘저가’라는 단어에 대한 문화적 차이와 국민감정이 많이 다르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을 타는 미국의 항공소비자에게 ‘저가’라는 단어는 그 어떤 불편함도 감수할 수 있는 일종의 조건이자 혜택이었다. 그리고 이들에게 ‘저가’라는 용어는 매우 긍정적인 단어이다. 그래서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영어사전에서 ‘경제적’이라는 단어는 financial(비용이 적게 드는), economical로 소개되고 있다. ‘합리적’이라는 단어는 rational, reasonable, logical로 풀이하고 있다. 즉 이성적이거나 지당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저가’는 low price, cheap price이다. 값이 싸고, 돈이 적게 든다는 의미이다. 심지어 ‘smart buy’로 풀이하기도 한다. ‘값이 싸고 돈이 적게 든다’는 것은 매우 경제적이고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스마트한 소비활동으로 여긴다.

반면, 우리나라 사전에서 ‘저가’를 검색해 보면 우선 부정적인 느낌이 진하다. ‘시세에 비하여 헐한 값’이라고 풀이한다. 비슷한 단어로는 싼값, 염가, 헐값이 있다. Smart buy와는 대조적인 개념이다. 경제적이거나 합리적인 것 과도 거리가 멀다.

또한 우리나라 속담 하나가 LCC 전체를 부정적으로 단정해 버렸다. 다름아닌 ‘싼 게 비지떡’이란 속담이다. 이 속담에서 ‘싼 것’은 경제적이거나 합리적이라는 의미와는 거리가 먼 ‘나쁘다’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값이 싼 물건은 품질도 그만큼 나쁘기 마련이라는 말’이라고 그 개념을 보충해주고 있다. 

<글 / 양성진 '세상을 바꾼 K-LCC' 저자>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