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농업의 현재과 미래] 정밀농업은 제2의 녹색혁명

조영미 기자 2020-01-28 12:52:53
[스마트에프앤=조영미 기자] 1980년대, 식량위기의 대안으로 정밀농업 개념이 대두되었지만 초지능, 초연결이 가능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농업의 정밀농업화는 필연적인 결과다.

초지능이란 과거로부터의 학습을 통한 지속적·기하급수적 기계의 지능화 및 정보 처리 능력의 고도화를 말한다. 또 초연결은 기계-기계, 기계-인간 등 모든 객체의 연결을 통한 능동·수동적인 정보의 교류다.

ICBM + AI의 발달로 농업은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는 물론 아디다스 Smart Factory처럼 생산과 소비의 최적화가 이뤄지는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1960~70년대 종자개량과 관개시설 개선, 농약 사용으로 식량의 대량생산 시대, ‘녹색혁명’이 열린 것처럼 농업의 맞춤형 생산 시대를 개척하는 정밀농업은 ‘제2의 녹색혁명’이라고 불린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식량이 부족하자 질소를 포함한 화학비료, 품종개발, 관개시설, 살충제, 제초제, 농기계 등의 상업화로 식량 대량생산이 가능해졌고, 이를 미국 환경학자 Lester Brown이 ‘녹색혁명’이라고 명명된다.

농업과 ICT산업의 새로운 먹거리, 정밀농업

ICT, BT 기술의 발달로 농업이 새로운 미래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국내 농업은 산업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는 위기에 직면ㅎ했다. 세계 식량시장은 5조 8,000억 달러로 자동차 시장(1.6조 달러), 철강시장(1.4조 달러)보다 3배 이상 크며, 2020년에는 6조 4,000억 달러로 성장할 만큼 향후 전망도 밝다.

어그테크 투자도 2014년 23억 달러에서 2015년 62억 달러로 약 3배 증가 추세다. 반면, 국내 농업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 수출 비중은 1.1%에 불과하며, 기업・인력・자본의 투자 또한 농업 선진국에 비해 열악한 상황이다.

경제선진국들의 대다수는 농업선진국이며, 농업을 포기한 선진국이 없는 것처럼 농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재창출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하다. 농축산물 수출 10대 국가는 미국, 네덜란드, 독일, 브라질, 프랑스, 중국, 캐나다, 스페인, 이탈리아, 벨기에 順으로 대부분이 선진국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Simon Kuznets는 ‘후진국이 공업발전을 통해 중진국 문턱에 이를 수 있으나 농업의 발전 없이는 선진국이 될 수 없다’ 고 주장했다. 농업뿐만 아니라 ICT산업도 지난 10년간 경제성장을 견인하였지만 최근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어 농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시장 창출 필요하다.

올해 11월,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발표한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에서 농수산업을 12대 지능화 혁신 프로젝트로 선정하였으며, 드론을 활용한 정밀농업, 데이터 기반의 정밀농업 육성 방안 제시했다. 정밀농업의 후발주자이긴 하지만 무선통신, 텔레매틱스 등 ICT 기반 인프라가 全국토에

보급되어 있어 발전 가능성은 높다.

정밀농업 니치마켓 공략 그리고 긴호흡의 정부지원

정밀농업 후발주자로 글로벌 정밀농업 생태계에 빠르게 뛰어들기 위해서는 특정작물에 특화된 기술개발과 시장전략 필요하다. 바이엘, 듀퐁, 존디어 등 글로벌 기업들이 거대 자본과 첨단기술로 초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틈새시장을 노리는 전략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동북아 지역에서만 재배되는 매실처럼 특정 작물에 특화된 정밀농업 기술이 개발 되야 한다.

또한 정밀농업은 기업들의 참여가 필수적으로 ICT기업의 농업시장 진출에 대한 열린 시각이 필요하다. 동부팜한농의 유리온실을 이용한 수출용 토마토 생산 철수, LG CNS 새만금 스마트팜 단지 건립 철회 등은 기업의 농업시장에 진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대표적 사례다. 기존 농업 생태계만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빅데이터, AI 등을 보유한 ICT기업도 생태계에 편입할 수 있는 인식 전환 필요하다.

정부 차원에서는 정밀농업 육성을 위한 정밀농업 인프라 확산, 스타트업 지원, ICT 기업과 농업인들의 상생모델 등 정밀농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적인 생태계 조성 필요하다. 농장용 데이터 센서 전국 보급, 빅데이터 센서 구축, 개방형 플랫폼 구축 등 민간의 참여가 어려운 분야를 중심으로 중장기적인 지원 사업을 추진했다.



조영미 기자 news@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