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강국 내세운 정부...제약·바이오업계 반응은 '글쎄'

바이오의약품 제조 기술 초격차 확보 및 바이오신소재 등 바이오산업 육성
제약·바이오업계 "정권 바뀔 때마다 해오는 '연례행사'...실효성 떨어져"
황성완 기자 2023-07-20 12:53:03
[스마트에프엔=황성완 기자] '바이오 강국' 목표는 달성될 수 있을까.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이를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만들겠다고 발표했지만 업계는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9일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를 열어 바이오의약품 제조 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하고 바이오신소재, 바이오에너지, 디지털바이오 등 바이오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추진 방향으로는 ▲2030년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 ▲바이오신소재 산업 활성화 ▲바이오에너지 상용화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바이오경제 기반 구축 등 5가지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를 지난 2020년 43조원의 2배가 넘는 100조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최근 바이오산업 분야가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바이오와 첨단 디지털 기술간의 융합이 가속화돼 수년이 걸리던 기술적 난제를 수분만에 해결하는 등 혁신적인 성과가 창출되고 있다. 바이오 기술이 고령화, 감염병, 기후위기 등 글로벌 난제를 푸는 핵심기술이자 기술패권 경쟁의 중요한 전략기술로 인식되면서 세계 각국은 바이오 핵심기술 유출을 제한하고, 바이오 기술주권 확보에 총력을 다하는 상황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 주제로 19일 개최된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 /사진=연합뉴스


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은 이같은 인식에는 동의하면서도 이번 발표 역시 정권이 바뀔 때마다 되풀이되는 '육성 계획'이라며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바이오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기업이 마음 놓고 연구·개발할 수 있는 환경부터 조성해야 하지만 규제에 발목이 잡혀 있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IT와 의료를 융합한 바이오·헬스 분야만해도 여전히 개인정보보호법, 의료법, 생명윤리법 등에 가로막혀 있다. 지난 4년간 바뀐 것은 유전자 검사와 연구에 대한 규제 완화 정도이고 비대면 진료, 원격약제조, 의료데이터 수집·활용은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신약 개발의 경우 막대한 비용과 연구 및 임상 시험 등을 위해 10~15년이라는 오랜 시간 공을 들여야 하는 분야"라며 "정부가 제시한 목표를 제대로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과거 정부가 제시한 종합 계획안에 따르면 이미 2020년에 ▲블록버스터급 신약 3개 ▲글로벌 50대 제약사 2개 ▲의약품 해외수출 23조원을 달성했어야 했지만 여전히 미완성 목표로 남아있다. 전 세계가 바이오 경쟁을 벌이는 만큼 실효적이고 지속가능한 정책과 실천이 뒷받침돼야 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목표만 제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반면 정부의 이번 계획이 우리 나라가 제약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국가로 도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협회장은 "제약바이오산업은 정부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해 큰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머지않아 그 결과물이 가시화 될 것"이라며 "부단한 연구개발 투자와 혁신, 윤리경영에 기반한 대국민 신뢰, 이를 토대로 글로벌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하는 것이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에 주어진 과제이자 숙명"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산업계의 의지를 하나로 모아 국민 신뢰 위에 바이오 강국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성완 기자 skwsb@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