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항공유(SAF) "전세계가 집중하는데 속도 더뎌"...해법은?

미국 재무부, 감소수치에 따라 공제혜택 내놔…유럽은 항공 이착륙에 의무화 실시
일본도 지난 5월부터 의무화와 공급체계 구축 시작
국내 SAF 시장 활성화 위해 의무화 관련 정책 마련 필요성도 대두
박재훈 기자 2023-12-19 10:40:34
글로벌적으로 탄소중립을 위해 친환경 연료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항공유 시장에서도 지속가능항공유(SAF)의 확대가 예고됐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SAF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정유사들의 참여외에도 민관협력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한국석유관리원이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 대한석유협회,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주최한 '2023석유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석유산업의 신성장 전략을 비롯해 친환경 연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토의와 함께 국내 친환경 연료 사업의 현황과 해결 과제 등이 제시됐다.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김재훈 교수가 18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열린 제5차 '2030 석유콘퍼런스'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박재훈 기자

이 가운데 SAF관련 법률체제 미비와 생산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주된 내용으로 다뤄졌다. SAF란 기존 항공유로 사용되던 석유나 석탄 등의 화석연료가 아닌 폐식용유, 에탄올 등의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진 항공유를 말한다. 비싼 가격이 단점으로 거론되지만 타 분야 대비 탄소감축이 어려운 항공분야에서 탄소배출량을 50~80% 감소될 수 있어 미래 친환경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분야다.

현재 SAF등 친환경 연료 시장은 유럽과 미국이 앞선 경쟁력을 확보하고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SAF의무수요를 전망하는 동시에 2025년부터 유럽내에서 이착륙하는 모든 항공기에 SAF를 최소 2%이상 혼용해야하는 것을 의무화했다. 유럽은 혼용비율을 점차 확대해갈 계획이며 2030년 5%, 2035년 20% 등으로 점진적으로 늘려가고 2050년에는 70%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1월28일(현지시간) 100% 지속가능 항공유(SAF)를 사용한 영국 항공사 버진애틀랜틱 항공기가 영국 런던 히스로공항을 출발한 뒤 미국 뉴욕 JFK 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경우 최근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상 SAF에 세액공제 형태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장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환경보호청, 교통부, 에너지부의 협력으로 세액공제 형태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15일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세부 규정에 따르면 제품 생애주기 동안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석유로 만든 항공유에 비해 50% 이상 감소시킨 SAF생산자는 1갤런당 1.25달러를 공제받고 이후 50%를 초과 감축할 때마다 1%당 1.75달러를 공제해준다.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김재훈 교수는 이같은 현상에 대해 "국제선 이용자들은 더욱 늘어나는 추세 속에서 항공분야가 타 분야 대비 탄소중립이 어렵기 때문에 내놓은 카드"라고 말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도 지속적으로 SAF활용을 주장하고 있다. ICAO는 국제항공탄소강쇄·감축제도(CORSIA) 이행을 결의했다. CORSIA는 항공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9년 수준으로 유지하는 제도로 오는 2027년부터 의무화될 예정이다.

옆나라인 일본의 경우 지난 5월 SAF의무화 정책을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2030년을 기준으로 일본 항공사의 연료 소비량 10%를 SAF로 대체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공급 측면에서 충분한 SAF제조 능력과 원자재 공급망(개발 및 수입 포함)을 확보하겠다는 의향을 비췄다.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SAF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적극적인 정부 지원을 고려하겠다는 것이다.

해외에서 이처럼 SAF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법규와 생산에 대한 준비가 미비해 속도를 내야한다고 정유업계와 관계자들은 지적했다. 현재 정유사들이 참여하면서 시작하는 단계지만 더욱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민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실증 운항을 위해 대한항공 보잉 777F 화물기에 바이오항공유(SAF)가 급유되고 있다. /사진=대한항공

일례로 유럽 정유사들은 오는 2030년까지 390억 유로(한화 약 55조3000억원)를 투자해 친환경 연료 생산을 늘린다고 밝혔다. 유럽 SAF생산업체인 네스테는 수소화식물성오일(HVO), 바이오SAF, 바이오나프타 및 프로판 등의 바이오연료 상용화에 나섰으며 미국의 정유업체 셰브론은 바이오디젤, 바이오메탄, SAF 등의 바이오 연료를 개발해 차량, 항공, 철도 부문에 공급하고 있다. 셰브론은 지난 2021년 9월 자체 개발한 SAF를 델타항공에 납품하기도 했다.

반면 국내에서는 아직 정부의 지원등이나 시장 활성화가 부족한 상황이다. 정유사들이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 움직임에 나섰지만, 정부의 지원이 미비한 수준이 머무르고 있다. GS칼텍스는 대한항공과 함께 실증운항을 진행하면서 사업착수에 들어갔으며 HD현대오일뱅크는 올해 충남 대산공장에 바이오디젤 생산 공장을 건설하는 등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성균관대 김재훈 교수는 SAF 국내 대응방향으로 ▲ SAF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 개발 ▲지속가능한 공급원료 확보  ▲인력양성 및 재교육 ▲ 신기술 개발 및 인증체계 확립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김 교수는 "타국가 대비 사업 속도가 느리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시장 활성화 촉진을 위해서라도 의무화를 고려하거나 간접적인 인센티브를 지원해 경쟁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재훈 기자 isk03236@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